중증 뇌전증 환자들의 수술 치료를 향상하기 위하여 2023년 2월에 공공의료 예산 31억원(국가 지원 70%, 병원 부담 30% 13억, 총 44억원) 지원으로 뇌자도검사 장비가 도입되었다. 뇌자도검사는 뇌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최첨단 뇌 검사로 뇌파검사보다 정확도가 20배 높다. 보건복지부는 2022년에 세브란스병원 환자가 30%, 전국의 외부 병원 환자가 70% 사용하는 뇌전증지원센터 뇌자도검사실 운영 규정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국 뇌전증 환자들이 고루 이용하지 못한다. 뇌자도검사는 뇌전증 수술에 큰 도움이 되는 필수적인 검사인데도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뭘까. 전국 대학병원들의 뇌자도검사 이용률을 보면 비수도권 병원들은 거의 전멸이다. 왜 뇌자도검사를 이용하지 못하는지 정부는 그 이유를 파악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첫 번째 이유는 환자를 큰 병원에 빼앗길까 걱정되어서 뇌자도검사를 의뢰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뇌자도검사만 의뢰해도 검사 처방을 위하여 의사진료를 억지로 받아야 한다. 이 의사가 다른 의견을 말하면 환자는 큰 혼란에 빠지고 치료에 방해가 되며 환자를 빼앗길 위험이 커진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은 타 병원 환자는 의사진료 없이 뇌자도검사만 받고 귀가하게 한다. 한국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국내 한 대밖에 없는 뇌자도검사에 한하여 의사의 감독과 지시하에 간호사가 뇌자도검사 처방을 내고 의사진료 없이 뇌자도검사만 시행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클리블랜드 클리닉 뇌자도센터의 리처드 버제스(Richard Burgess) 소장은 “미국에서는 다른 병원이 검사를 의뢰한 뇌전증 환자를 뇌자도검사 병원에 빼앗기는 위험을 막기 위하여 의사진료 없이 뇌자도검사만 시행합니다”라고 말했다. 한국은 4대 병원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환자를 빼앗길 걱정이 더 크다. 한번 환자를 빼앗기면 그 의사는 다시는 뇌자도검사를 의뢰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다른 병원의 뇌자도검사 의뢰 환자를 지키는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으면 공공의료 예산으로 도입된 뇌자도검사는 특정 병원의 전유물이 되고 전국의 중증 뇌전증 환자들은 큰 피해를 보게 된다. 지금 그 기로에 서 있다. | 홍승봉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뇌전증센터학회 회장 | 두 번째 이유는 뇌자도검사 수가(약 120만원)의 환자 부담금 100만원이 너무 크다. 뇌전증 수술에 꼭 필요한 검사이고 1년 검사 건수가 약 160∼200건으로 매우 적어서 빨리 필수급여로 전환되어야 한다. 올해가 뇌자도검사의 필수급여전환 평가 시기이다. 세 번째는 대부분의 뇌전증 전문 의사는 뇌자도검사에 경험이 없기 때문에 잘 모르고 있으며,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이 서울과 부산 이외에는 한 곳도 없으므로 수술에 필요한 뇌자도검사를 의뢰하기 어렵다. 해결 방법은 전국 대학병원의 뇌전증센터들이 기존의 뇌전증수술센터와 연계하여 수술을 의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도 수술만 의뢰하지 환자를 빼앗겨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하여 전국 뇌전증수술연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술의뢰 가이드라인을 만들며, 정부가 수술의뢰 및 공동수술회의를 관리하고 정기적인 수술 건수의 추적관찰도 해야 한다. 뇌전증 수술은 생명을 구하는 치료로서 활성화를 위하여 수술의뢰 시 인센티브제도를 꼭 만들어야 한다. 이보다 더 급한 일은 없다. 국내 한 대뿐인 뇌자도검사에 정부가 무관심하면 중증 뇌전증 환자들의 미래가 암울해진다. 정부는 하루빨리 공공의료 뇌자도검사를 바로 세워서 중증 뇌전증 환자들을 살려야 한다. 홍승봉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대한뇌전증센터학회 회장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