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부산연구원, ‘부산의 해안경관 그랜드 디자인’ 보고서 발간

부산연구원(원장 신현석)이 27일 부산 해안(海岸, Coastal Area)의 매력을 세계적 수준으로 높일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하는 ‘부산의 해안 경관 그랜드 디자인 방안’ 정책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단절되고 가려져 있던 부산의 해안을 웅장한 아름다움을 지닌 그랜드 해안 경관으로 변모시키는 ‘장(場, Place with Multiple Moments and Fields)’의 디자인 방법을 제시했다.
이 ‘장(場)’은 다양한 도시 활동과 정치·경제·사회·문화 영역들이 해안이라는 무대에서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공간이다.


이 디자인 방법을 기반으로 부산 해안의 미래상으로 ‘더 그랜드 해안 회랑(The Grand Coastal Corridor)’을 설정했으며 미래 메타포(隱喩, Metaphor)는 ‘바다를 열어 삶을 잇다.
그랜드 오션, 굿 라이프(The Grand Ocean, Good Life)’로 제시했다.
이는 일부 계층만 이용하던 부산의 해안 지역을 모든 시민이 누릴 수 있는 열린 공적 활동공간으로 전환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구자는 낙동권, 남항권, 북항권, 수영권, 기장권을 아우르는 통합적 공간계획과 권역별 특성을 살린 맞춤형 계획을 함께 구상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부산 해안을 대표하는 디자인 시범 사업으로 오륙도와 이기대에서 시작해 광안리 해수욕장을 거쳐 동백섬까지 이어지는 12.2㎞ 구간에 ‘해안예술회랑’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이 사업은 이기대 지질공원, 이기대 미술관, 용호동 섶자리, 광안리·해운대 해수욕장, 민락수변공원, 동백섬 등 기존 해안경관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그린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며, ‘15분 도시’ 계획과 연계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따른 해안 공공공간 확보를 핵심으로 한다.


연구책임자인 박상필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의 해안은 세계 어디서도 찾기 어려운 무한 잠재력을 보유한 공간자원이므로 시민과 방문객 모두로부터 사랑받는 장소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민·관의 협력적 정책역량의 집중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도 이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시범사업은 실천과 성공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이 디자인 사업은 현재 시에서 추진 중인 '부산 수변관리 기본계획'과 '이기대 예술공원 조성계획'과 연계돼 계획적 정합성을 갖추었기 때문이다”고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22713025349059_1740628973.jpg
  • newhub_2025022713021549056_1740628936.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