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아울러 "사고 수습과 피해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도 다시 한번 밝혔다.
28일 주 대표는 서울 종로구 현대빌딩 별관에서 언론 브리핑을 열고 "공사 현장에서 소중한 생명을 잃고 부상을 입은 결코 일어나선 안 될 사고가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현대엔지니어링은 주 대표 명의의 입장문을 통한 사과문을 낸 바 있지만, 주 대표가 직접 나서 사과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주 대표는 90도 각도로 허리를 숙여 사과한 뒤 "회사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피해자 지원 및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현장 수습과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관계 기관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날 브리핑에서 피해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우선 사고 유가족에 대한 장례 절차와 정신적 충격 완화를 위한 심리 상담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상자를 위한 부상 및 재활치료, 긴급 생계비 지원 계획도 밝혔다.
이와 함께 사고가 발생한 인접 가옥의 피해를 조사하는 등 주민 지원에도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주 대표는 "유가족 지원을 위해 장례 절차와 관련된 지원을 진행 중에 있다"며 "산재보험 유족급여 안내, 노무사 연결도 시켜드리겠다"고 말했다.
생계비 지원을 위해서는 가구당 300만원을 준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날 주 대표는 정부의 사고 조사와 관련해서는 "투명하게 있는 그대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협조를 다 하겠다"며 "조사가 종료되면 도로와 주변 시설을 포함해 할 수 있는 복구를 조속히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주 대표는 사고 현장 거더에 안전 로프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의혹 등 사고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돼야 한다”면서도 “조사 중인 사안이라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즉답을 피했다.
박상준 현대엔지니어링 건축사업본부장은 "통상적으로 거더를 설치할 때는 전도방지시설을 설치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도) 설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조사가 진행되는 상황에 가타부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사고 당일 안전·보호장구와 안전교육은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김정배 현대엔지니어링 안전품질본부장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매일 아침 회의를 하고 해당 현장에 가서 안전 장치와 장비에 대해서 위험성을 평가한다"며 "안전 조치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에 투입된 상태고 안전고리, 낙하 방지망 등 완벽하게 설치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5일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을 맡은 서울세종고속도로의 건설 현장에서 교각에 설치 중이던 교량 상판 구조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발생해 작업 중이던 인부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현재 이번 사고와 동일한 DR거더 런칭 가설 공법을 적용한 현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해당 붕괴 사고 수사를 맡고 있는 경기남부경찰청 수사전담팀은 이날 오전 현대엔지니어링 본사를 포함해 한국도로공사, 장헌산업 및 강산개발 사무실 등 총 7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아주경제=한승구 수습기자 win9@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