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한국, 핵무기 만들어야 한다”… 부산대·경희대 연구팀, 최근 논문서 주장

한국에서 활동 중인 미국인 정치학자와 국내 교수 등이 대한민국의 핵무장 논리를 편 공동 논문을 내놔 눈길이 쏠리고 있다.


미국인 정치학자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와 김민형 경희대 교수는 최신 논문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동맹국을 위해 싸우지 않을 것이고 이제는 한국이 독자적인 핵 억제력을 갖춰야 할 때”라며 “한국은 핵무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북한의 핵 위협 속에서 한국의 핵무장이 불가피할 수 있으며 미국도 결국 이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한국의 핵 보유는 한미 동맹을 파기할 정도로 위협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는 정치외교학과 로버트 E. 켈리(Robert E. Kelly) 교수가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김민형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 핵무장에 대한 핵심 주장과 미국의 반론에 대한 반박을 종합해 발표한 영문 논문이 최근 공신력 있는 주요 영문 매체에 소개됐다고 4일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 ‘Why South Korea should go Nuclear(한국이 핵무장을 해야 하는 이유)’는 SSCI 국제 학술지인 'Foreign Affairs' 1/2월호에 게재됐다.


두 연구자는 “북한은 미국이 전쟁에 참전할 경우 전쟁에서 미국을 상대로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한미 동맹은 더 이상 미국의 한국전 참전을 보장해 줄 수 없다”며 “북한의 핵무기는 미국 엘리트들의 의사결정을 불가피하게 변화시킬 것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제는 한국이 미국의 핵우산에만 의존하는 것이 너무 위험한 때”라고 언급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이 한국의 핵무장을 반대하지만 결국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을 실었다.


연구에 따르면 북한의 핵 ICBM(대륙 간 탄도 미사일)은 미국의 확장된 억제력의 신뢰성을 영구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한국은 미국의 포기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더 구체적인 안보 보장을 요구할 것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등장으로 상황은 더 악화하고 있다.


미국은 북한의 핵 공격 위험을 고려할 때 한국의 핵무장을 무조건 막기 어렵고 기존에도 전략적 이유로 동맹국들의 핵무장을 용인해 왔다.


한국의 핵무장은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에 따른 현실적인 대응이며 핵 비확산 우려도 과장됐다고 봤다.
또 한국이 핵을 보유하더라도 그 규모는 제한적일 것이며 한미 동맹이 파기될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의 자주적 핵무장 논쟁에서 미국의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미국은 한국의 핵무장에 반대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과 미국의 확장 억제력 약화, 그리고 미국 내 고립주의 부상으로 인해 결국 이를 마지못해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동맹국들의 핵무장을 원치 않았지만 전략적 관계 유지를 위해 영국·프랑스·이스라엘·인도·파키스탄 등 용인한 사례가 있으며 한국도 예외가 아닐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경험적·규범적 측면에서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한다.
경험적 측면에서 보면 미국은 한국의 핵 보유를 동맹 파기 없이 받아들일 것이라는 것이다.
북한의 핵 ICBM 보유 이후 미국의 확장 억제력 신뢰성이 약화했으며 트럼프 이후 미국의 고립주의가 강화되면서 한국 포기 가능성이 커졌다고 봤다.


이에 따라 한국 내 여론과 엘리트층의 핵무장 지지가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 외교 정책 커뮤니티도 동맹 균열을 우려해 결국 한국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규범적인 측면에서는 한국의 핵무장이 한미 동맹을 파기할 만큼의 파급력을 갖지는 않는다고 본다.
비확산 우려는 한국에 적용하기 어렵고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책임있게 핵을 관리할 것으로 봤다.
또 한국의 핵 보유가 일본·대만 등의 핵무장 연쇄를 촉발할 가능성도 작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핵무장은 북한과 중국의 핵 위협에 대응하는 정당한 선택이며 한미 동맹을 반드시 약화하는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구진은 또한 한국이 핵무장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 규모가 작기 때문에 미국과의 동맹이 파기되는 심각한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작다고 결론지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410254053046_1741051540.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