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완화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발빠른 대응
‘중첩 규제’의 굴레에 갇힌 경기 광주시가 본격적인 도시개발사업에 뛰어들었다.
4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말 6500억원대 ‘경안2지구 도시개발사업’ 기공식을 열고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에 착수했다.
![]() |
경안2지구 도시개발사업 기공식. 광주시 제공 |
오는 5월 착공 및 분양을 거쳐 4년간 사업을 진행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새로운 주거 공간 조성과 생활 기반시설 확충을 꾀하고 있다.
시민들의 주거 만족도를 높이는데 무게를 뒀다.
경안2지구는 2002년 도시계획시설(근린광장, 주차장) 결정 이후 꾸준히 개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2015년 공영개발 추진 결정에 따라 개발행위 허가 제한 지역으로 지정됐고, 2017년 12월 도시개발구역으로 변경됐다.
이곳은 주변 노후화와 상업·편의시설 부족으로 주거 만족도가 낮고 역동 IC 주변의 차량정체가 문제로 지적받아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쾌적한 주거 공간 조성과 함께 교통 기반시설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이 동시에 추진된다.
시는 다양한 상업시설도 유치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 |
중첩규제와 지역소멸 대응 정책토론회. 광주시 제공 |
시 전역이 자연보전권역과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에 시는 규제혁신 태스크포스를 구성한 뒤 방세환 시장을 중심으로 규제 완화 비상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수도권 규제의 현실적인 개선을 위해 단계적이고 효율적 규제 해소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방 시장은 “경안2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시민들의 주거환경을 크게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규제 합리화와 상생 발전을 위한 노력이 광주시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될 것”고 말했다.
경기 광주=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