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대구시내 군부대 5곳, 2030년까지 군위로 이전…2작전사·50사단·5군수사령부 등

대구시는 5일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를 대구 군위군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도심 군부대를 외곽으로 옮겨 후적지를 신성장 경제 거점으로 개발하는 한편 이전하는 군부대의 선진 병영 환경 조성, 이전 지역의 인구 증가와 경제 활성화가 기대되는 민군 상생을 위한 이전 사업을 구상했다.


기초단체들이 군부대 유치전에 뛰어든 가운데 대구시는 2022년 10월 영천시, 상주시, 군위군, 의성군, 칠곡군 등 5개 지자체로부터 유치 제안서를 받아 같은 해 12월 국방부에 군부대 이전 관련 사전 협의를 요청했다.


이후 2023년 12월 대구시와 국방부 간 민군 상생 협력 방안이 담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2030년까지 대구에 자리잡은 5개 부대를 이전하는 사업이 가시화됐다.


이전 대상은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 등 국군 5개 부대다.


지난 1월 군부대 유치 의사를 중도 철회한 칠곡군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 중 군위군, 상주시, 영천시 등 3곳을 예비후보지로 선정한 뒤 이들 예비후보지 중에서 최종 이전지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를 대구정책연구원에 의뢰했다.


외부 전문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은 사업비와 사업절차 용이성, 이전 지역의 주민 수용성 등을 검토해 군위군을 최종 이전지로 선정했다.


군부대 이전 사업은 사업자가 시설물을 군에 기부한 대가로 주둔지를 양도받아 개발하는 기부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전지가 결정됨에 따라 대구시는 우선 내년 상반기 중 국방부와 기부대 양여 사업에 관한 합의각서를 체결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준비에 들어갈 방침이다.


이전지 군사시설 건설과 민군 상생타운 조성, 양여부지 개발, 기부대 양여 사업화 방안 등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방부와 협의해 합의각서안을 마련하면 국방부 검토와 기획재정부 심의를 거쳐 합의각서 체결에 이르게 된다.


합의각서가 체결되면 이를 근거로 사업대행자 선정, 설계와 시공을 거쳐 2030년말 이전이 군부대 이전이 완료되며 이후에는 본격적인 후적지 개발에 착수한다.


하지만 비상계엄 사태 후 국방부 장관의 부재로 애초 지난해 연내 결론 날 예정이었던 예비후보지 선정이 올해로 지연된데 이어 앞으로 합의각서 체결 등 국방부와 업무 협의가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2022년 10월 이후 군부대 이전지 유치를 위해 열정적인 노력과 관심을 보여준 각 지자체 관계자들과 시민, 군민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군부대 이전지가 최종 결정돼 대구 미래 100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민군상생의 군부대 이전사업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구대선 기자 k586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511183555070_174114111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