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제철 맞았지만 국내 최대 멍게 양식장은 초토화…어민은 한숨만

“30년 가까이 멍게로 먹고 살았는데 이런 적은 처음입니다.
속만 시커멓게 타들어갈 뿐입니다.


경남 통영시 산양읍 앞바다에서 8ha 규모로 멍게 양식장을 운영하는 이종만(62)씨. 2월부터 6월까지는 햇멍게 출하 시즌으로 1년 중 지금이 가장 바쁠 때이지만 이씨는 그저 ‘멍’하니 넋을 놓고 있을 뿐이다.
제철을 맞아 수확이 한창이어야 할 멍게가 아예 씨가 말랐기 때문이다.

이씨는 “양식하는 과정에서 멍게가 일부 폐사하는 경우는 다반사이지만 이번 경우처럼 완전 초토화가 될 정도로 멍게 씨가 마른 적은 난생 처음이다”고 토로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런 사정은 이씨 양식장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여름 남해안 일대는 역대급 고수온 피해를 겪었다.
이 때문에 멍게 어가의 시름은 남해안 전체로 번지고 있다.

5일 통영에 본소를 두고 있는 멍게수하식수협에 따르면 지난해 공식 집계된 멍게 폐사율은 97%에 달한다.
통영과 거제에는 200여 어가가 800ha 정도 양식장에서 멍게를 키우고 있다.
이곳에서 전국 멍게 유통량의 7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데 사실상 멍게 양식이 초토화됐다는 의미다.

멍게의 적정 생장 수온은 10~24도로 알려져 있다.
얇은 껍질의 멍게는 유독 수온에 민감하다.
그런데 지난해 여름에는 바다 수온이 30도가 넘는 유례없는 고수온이 한 달가량 이어지면서 멍게 성체는 물론 새끼 멍게까지 폐사했다.

어민들은 지난달부터 본격적인 멍게 수확에 나섰다.
하지만 멍게가 거의 전멸한 상황이어서 수확할 멍게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보기 힘들 정도라고 다들 입을 모으고 있다.
일부 양식장은 급한 대로 지난해 연말 입식한 어린 멍게라도 채취할 계획이지만 성장이 더딘 탓에 출하할 수 있는 물량은 턱없는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멍게수협은 2011년 공판장 개장 이후 올해 처음으로 초매식도 취소했다.
초매식은 첫 경매 행사로, 어민들에겐 중요한 행사인데 멍게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 것이다.

일단 멍게수협은 보유 중인 냉동품 재고를 풀어 수요를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김태형 멍게수협 조합장은 “앞으로 고수온이 매년 반복되면 이번과 같은 악순환이 반복될 우려가 크다”며 “고수온에 안전한 양식장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고 정부에서도 관심을 가져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통영=강승우 기자 ksw@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5516651.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