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상주시 제치고 최종 선정
2030년까지 ‘기부 대 양여’ 방식
창군 이래 최대 규모로 불리는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지’로 군위군이 최종 선정됐다.
대구시는 군위군 이전 지역에 군사시설 계획을 구체화하는 등 내년 상반기 합의각서를 체결하고 2030년까지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지만 최소 4조원 이상의 사업비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5일 시에 따르면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의 후보지별 평가 결과 군위군이 사업성과 수용성에서 100점 만점에 95.03점을 기록해 경북 영천시(82.45점)와 상주시(81.24점)를 제치고 최종 선정됐다.
군위군은 이전 사업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점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 민원?갈등 해소 노력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밀리터리타운과 훈련장에 대한 주민 동의율이 매우 높고 주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지자체의 다양한 노력도 긍정 평가됐다.
평가위원장인 김동영 대구가톨릭대 교수는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 지자체별 후보지가 큰 차이를 드러냈다”고 밝혔다.
![]() |
국방부가 지난해 1단계로 ‘임무수행 가능성’과 ‘정주환경’을 평가해 예비후보지를 선정한 데 이어 2단계로 대구시가 ‘사업성’과 ‘수용성’ 평가를 거쳐 최종 이전지를 선정했다.
앞서 시는 지난 1월 국방부가 군위군, 상주시, 영천시 등 예비후보지 3개소를 선정해 통보하자 대구정책연구원에 평가를 위탁했다.
시는 군사시설 건설과 민군 상생타운 조성 계획, 양여 부지 개발 계획 등 종합계획을 수립한 뒤 이를 바탕으로 국방부 검토와 기획재정부 심의를 거쳐 합의각서를 체결한다.
대구 군부대 이전은 도심 내 산재한 군부대를 도시 외곽지역으로 통합 이전해 후적지를 개발하려는 사업이다.
이전 대상은 육군 제2작전사령부(1.27㎢), 제50사단사령부(2.99㎢), 제5군수지원사령부(0.75㎢),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0.64㎢) 등 5개 부대다.
이전 사업은 사업자가 시설물을 군에 기부한 대가로 주둔지를 양도받아 개발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침체한 지역 경기 등의 영향으로 향후 사업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의 중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군부대 이전지가 최종 결정된 만큼 대구 미래 100년 발전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민군 상생의 군부대 이전사업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인구소멸 지역에 젊은 군인들이 들어와 활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