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집에서 건강한 노후 보내도록… 부천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눈길’

조용익 시장 “빈틈 없는 지원체계 이룰 것”
5년 연속 복지부 장관상, 2022년 대통령상


대한민국은 최근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한다는 의미다.
경기 부천시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으로 우리사회의 당면 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5일 부천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지역 통합건강돌봄센터·재택의료센터를 통해 보건과 의료 서비스를 한데 제공하는 게 골자다.
내 집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낸다는 점에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3년 노인 실태 조사서’를 보면 현재 거주지에서 계속 살기(Aging in place)를 희망하는 이들이 10명 중 9명(87.2%)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 비해 3.4% 증가한 수치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시는 기존 복지 제도의 선별적 기준 및 부족하고 단발적인 서비스 등의 여러 문제를 보완했다.

분야별로 생활 지원의 경우 가사·식사·청소·동행을 비롯해 틈새돌봄(야간·주말), 식사 영양관리 등이 포함된다.
주거·돌봄 안전망과 관련해서는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해 독거노인의 안부를 실시간 살펴본다.
또 의료기관 연계 방문 진료·간호와 우울증 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대상은 관내 살면서 질병, 장애 등으로 일상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과 장애인이다.
동 복지팀과 복지관·병원으로 도움을 요청하면 사례 조사 및 계획 수립 뒤 진행되는 구조다.
시는 대상자가 어디서나 혜택을 받도록 통합 안내 창구 68개소를 운영 중이다.
여기에 민간과도 원활한 협력 체계를 갖췄다.

이 같은 우수사례를 배우려는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국내는 물론 일본,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해외 지자체에서도 부천을 다녀갔다.
대내외 풍성한 수상 실적으로도 이어졌다.
2022년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 대통령상, 2020∼2024년 5년 연속 지역사회 통합돌봄 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의 영예를 안았다.

시는 앞으로 사업의 대상과 인프라를 한층 넓히고 시스템·전문성 강화로 부천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수요자 개인의 상태·욕구를 충족시키는 생애 맞춤 돌봄도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부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650009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