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전국 지자체, ‘생성형 AI’ 구독료 연 4억 지출

최근 1년간 전국 지자체가 업무 목적으로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구독하기 위해 쓴 돈이 4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9일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광주 서구을)이 17개 시·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지자체가 공무원의 업무 지원 등을 위해 지출한 생성형 AI 구독료는 모두 3억9,168만6,165원으로 파악됐다.


지자체별로는 제주가 6,871만여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5,634만여원), 경기(4,675만여원), 전남(4,454만여원), 충남(4,313만여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자체의 생성형 AI 이용자 수는 3,687명이었다.
‘산출 불가’라고 밝힌 경기도를 제외한 수치다.
충남이 1,274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858명), 서울(440명), 대전(275명) 등의 순이었다.


최다 구독 프로그램은 ‘챗GPT’였다.
미국 오픈AI사가 개발한 대화형 AI 서비스인 챗GPT는 17개 시·도 모두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스타트업 앤스로픽이 개발한 ‘클로드’와 텍스트를 입력하면 AI가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미드저니’는 각 5곳의 지자체가 구독하고 있었다.


발표 자료나 웹사이트 제작을 지원하는 ‘감마’는 4곳이 이용했다.
이 밖에 음악 제작 도구인 ‘수노’, AI 기반 검색 서비스인 ‘퍼플렉시티’, 문장을 음성으로 변환해 영상에 합성할 수 있는 서비스인 ‘네이버 클로바 더빙’, 동영상 압축 서비스인 ‘블루닷’ 등이 구독 목록에 포함됐다.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구독한 지자체는 서울과 경기로, 각 10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었다.
앞서 보안상 우려가 제기되면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접속 차단이 잇따랐던 중국의 생성형 AI ‘딥시크’를 구독하는 지역은 없었다.


양 의원은 “생성형 AI 활용으로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는 순기능이 있지만, 업무 외 용도에 대한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최근 딥시크 논란에서 보듯 공공문서나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철저한 관리와 보안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913151460192_1741493714.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