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7%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떨어진 것이다.
![]() |
중국 베이징의 슈퍼마켓. 신화연합뉴스 |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2.2% 떨어지며(전월 대비 0.1% 하락)하며 2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중국 PPI는 작년 6∼7월 -0.8%로 다소 호전됐다가 8월 -1.8%에 이어 올해 1월 -2.3% 등 둔화 추세를 보이는 중이다.
다른 주요 국가들이 최근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박에 직면해 있다.
물가 하락은 가계 소비를 더 오래 억제하고 기업 수익을 감소시키며 투자를 위축시켜 결국 임금 삭감과 해고로 이어질 수 있어 중국 정부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2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3% 증가한 5399억4000만달러(약 783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의 전망치 5%와 5.9% 증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 10.7%에도 크게 뒤졌다.
반면 1~2월 수입은 8.4% 감소한 3694억3000만달러(약 536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의 전망치(1%)에 못 미치는 동시에 2023년 7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핀포인트자산운용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장즈웨이는 “(수출 둔화는) 부분적으로는 지난해 무역전쟁을 피하기 위해 강세를 보였던 수출의 선행적 증가가 둔화된 데 기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면서 “급격한 수입 감소는 국내 수요의 약화와 가공무역 수입의 감소를 모두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며 “미국이 관세를 인상함에 따라 발생하는 피해는 다음 달에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