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中 내수 진작 의지에도 지표는 둔화… 2월 CPI 0.7% 하락

중국 당국의 잇따른 내수 진작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좋지 못한 경제지표가 이어지며 불안감이 나오고 있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7% 하락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떨어진 것이다.
중국 베이징의 슈퍼마켓. 신화연합뉴스
중국의 전년 대비 CPI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를 기록한 뒤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로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춘제(중국의 설)이 겹친 올해 1월 0.5%로 뛴 바 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2.2% 떨어지며(전월 대비 0.1% 하락)하며 2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중국 PPI는 작년 6∼7월 -0.8%로 다소 호전됐다가 8월 -1.8%에 이어 올해 1월 -2.3% 등 둔화 추세를 보이는 중이다.

다른 주요 국가들이 최근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박에 직면해 있다.
물가 하락은 가계 소비를 더 오래 억제하고 기업 수익을 감소시키며 투자를 위축시켜 결국 임금 삭감과 해고로 이어질 수 있어 중국 정부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2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3% 증가한 5399억4000만달러(약 783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통신의 전망치 5%와 5.9% 증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 10.7%에도 크게 뒤졌다.

반면 1~2월 수입은 8.4% 감소한 3694억3000만달러(약 536조원)로 집계됐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의 전망치(1%)에 못 미치는 동시에 2023년 7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핀포인트자산운용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장즈웨이는 “(수출 둔화는) 부분적으로는 지난해 무역전쟁을 피하기 위해 강세를 보였던 수출의 선행적 증가가 둔화된 데 기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면서 “급격한 수입 감소는 국내 수요의 약화와 가공무역 수입의 감소를 모두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며 “미국이 관세를 인상함에 따라 발생하는 피해는 다음 달에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309505889.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