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재광 SK하이닉스 부사장. SK하이닉스 뉴스룸 |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글로벌 AI 메모리 업계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
이러한 성과 이면에는 철저한 손익 관리와 원가 및 수익성 분석, 경제성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재무 환경 개선에 기여한 경영분석 조직의 전략적 지원이 있었다.
엄 부사장은 “다운턴 시기의 어려움 때문에 작년에는 안정적인 재무 환경 구축이 최우선 과제였다”며 “경영분석 조직은 급변하는 환경에 따라 적기에 손익을 산출·분석해 재원을 최적화하고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왔고 그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원가 경쟁력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올해도 다양한 운영 개선 노력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늘리고 차입금은 점차 줄여나간다는 목표다.
엄 부사장은 현재 회사 재무의 한 축인 경영분석 조직을 이끌고 있지만, 커리어의 시작은 제조·기술 분야였다.
반도체 제조 현장에서 첫걸음을 뗀 만큼 제조·기술 업무와 재무 지원 업무 사이의 균형감이 누구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재무 조직이라고 하면 흔히 비용 절감을 위한 부서로만 인식되곤 하지만 저는 제조·기술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균형 잡힌 의사결정을 이어왔다”며 “앞으로도 재무뿐 아니라 제조·기술 현업에서 만족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이어 나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철학은 경영분석 조직의 인재 구성에도 반영됐다.
실제, 경영분석 조직 구성원의 절반가량은 기술/제조 현업 출신으로 구성돼 있다.
![]() |
엄재광 SK하이닉스 부사장. SK하이닉스 뉴스룸 |
아울러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구성원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융합의 힘을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SK하이닉스를 함께 만들어 갔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