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정부의 교사 정원 감축 기조로 인한 전남교육 현장의 심각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조한 도의회, 학부모회, 교원단체 등 교육공동체에 10일 감사의 서한문을 보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전남지역은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해 교육부의 대규모 교사 정원 감축이 특히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소규모학교가 많은 지역 특성상 교사 정원 축소는 교육을 포기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정도로 큰 위기였다.
특히, 3학급 규모의 중학교에 배정되는 교과교사 수가 6명으로 줄어들면서 기본 교과교육뿐만 아니라 특색 교육활동, 학생 생활교육 등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발생했다.
이 같은 상황의 해결을 위해 전남도의회는 전남 교원정원 감축 반대 촉구 건의문을 의결했고, 학부모회연합회는 정원 감축 반대 서명 운동을 전개했다.
교원단체는 유관기관과 연대해 정원 감축 대안 마련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교육공동체는 ‘동주공제(同舟共濟) 동심만리(同心萬里)’의 정신으로 정부 정책 변화를 촉구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교육부는 중등 신규교사 및 한시적 정원외 기간제교사 임용 인원을 확대 승인함으로써, 학생들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다.
도교육청은 대규모 교원 정원 감축으로 악화된 소규모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원활히 지원하고, 소수 학생 학급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전남형 기초정원제’를 추진했다.
이 제도는 도서지역 학교를 포함한 소규모학교에 최소한의 정규 교원을 배치하는 정원 배정 모델로, 기간제교사 임용이 어려운 지역의 교육 정상화를 돕기 위한 조치다.
전남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한 이 제도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를 통해 정부에 소규모학교 기초정원제 도입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김 교육감은 서한문에서 “전남교육 위기 극복은 교육청과 교육공동체가 힘을 합쳐야 가능한 일이다”며 “도의회, 학부모회, 교원단체 등의 적극적인 협력에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모든 교육 구성원들과 함께 전남교육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