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가 글로벌 해운·항만 육성에 나선다.
여기에 깨끗한 해양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어업인 삶의 질 향상, 스마트항만 건설, 해상교통망 확충, 해양쓰레기 관리기반, 체계적 갯벌 관리 등 6개 분야 75개 사업에 3,630억원을 투입한다.
13일 전남도에 따르면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어촌의 소멸을 방지하고 생활·경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 농산어촌개발, 후계 어업인 육성 및 수산 경영 대학 운영 등 11개 사업에 24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국내 수출입 물동량 1위 항만인 광양항을 스마트 자동화 항만으로 전환하기 위해 자동화 항만 테스트베드 구축, 율촌 융복합 물류단지 조성 등 사업을 추진한다.
목포항을 서남권 핵심 지원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목포신항 진입도로 건설, 5만톤급 자동차 부두 확충 등 24개 사업에 2,259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완도항과 땅끝항 등 지방관리 항만 9곳에 방파제와 접안시설을 확충하는 등 체계적 지방항만 육성을 위해 430억원을 지원한다.
해상교통 복지 실현을 위해 섬 주민 천원 여객선 운임지원, 섬 지역 택배비 추가 지원, 생활필수품 해상 운송비 지원 등 섬 주민의 생활 부담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 254억 원을 지원한다.
깨끗한 해양생태계와 해양쓰레기 관리 기반 구축을 위해선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해양보호구역 관리 및 갯벌 복원 등 444억원을 투입해 연안 해양생태계 기능을 회복할 계획이다.
박근식 전남도 해운항만과장은 “해운·항만, 해양생태 분야 체계적 발전을 위해 올해 총 3,630억원을 투입, 지역 해양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해양환경을 보호할 계획이다”며 “특히 스마트항만 건설, 연안해운 활성화, 해양쓰레기 정화 등을 중점 추진해 지속 가능한 해양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역 해양수산 분야 주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AI 해상양식 테스트베드 구축 200억원, 일반인 섬 여객선 반값 운임 지원 200억원 등 신규사업 8건 총 2,173억원 규모를 발굴했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