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부산시, 글로벌 AI 허브도시 실현 종합전략 발표… 5년간 4877억원 투입

글로벌 인공지능(AI) 허브도시를 실현하려는 부산시의 종합전략이 나왔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13일 오후 2시 30분 강서구 명지동 에코델타시티 스마트시티랩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21차 부산미래혁신회의를 열어 ‘부산 AI 종합전략’을 발표한다고 알렸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기업, 대학, 언론, 청년, 유관기관 등 20여명이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선 스마트시티, AI 데이터센터, AI 전방산업 등을 활용한 시장 주도(Market Driven) 전략을 통해 AI 산업 육성 지원 대책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논의한다.


회의는 이상용 IT 수석의 ‘현실을 흔드는 AI, 부산이 선도하는 새로운 변화’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진행된다.
부산기업인 박세진 감바랩스 대표, 이영진 로보원 대표가 각각 초경량 온디바이스 AI, AI 로봇산업 성장 가능성에 대해 사례발표를 한다.
이어 부산시는 ‘부산 AI 종합전략’을 정책발표하고 박형준 시장 주재로 각계각층 대표와 다양한 목소리로 의견을 듣고 논의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글로벌 AI 허브도시 부산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5년간 4877억원을 투입해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와 ▲5대 AI 인프라 육성 세부 과제를 추진해 나간다.


이와 함께 7587억원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중·단기 AI 종합전략을 매년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첫째 AI를 만드는 부산(산업 분야), 둘째 AI로 살기좋은 부산(시민 분야), 셋째 AI를 활용하는 부산(행정 분야), 넷째 AI를 대비하는 부산(인재 분야) 등으로 구성된다.


산업 분야에선 대규모 AI 시장 창출을 통한 AI 산업 육성을 위해 3대 전략 산업(제조, 물류, 헬스케어)에 대한 인공지능 전환(AX)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부산의 R&D 기능을 중심으로 동남권과 연계해 글로벌 AI 기업을 육성, 온디바이스 AI 등 새로운 분야를 지원한다.


시민 분야에선 시민 누구나 앱 하나로 모든 행정서비스와 AI 기반의 부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부산시민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한 정부예산 사업과 연계해 ‘건강하고 안전하고 재미있는 부산’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제공한다.


행정 분야에선 AI 아이디어 공모전, 교육, 경진대회 등을 실시해 공무원들의 AI 문해력(리터러시)을 키우고 AI 에이전트와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으로 과학적·효율적 행정 문화를 정착한다.


인재 분야에선 엘리트 AI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일터에 AI를 내재화해 활용을 일상화하며 디지털 소외계층 접근성 확대로 AI 역량 강화 및 신산업 일자리를 창출한다.


5대 AI 인프라 조성을 위해 AI 장비 공동이용 센터, AI 스마트시티, 동남권 AI 허브, 부산형 AI-온라인 공개수업(MOOC) 구축, AI 양자 협력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AI 장비 공동이용센터에선 산·학·연·관이 보유하고 있는 딥러닝 서버(GPU), 개발보드, 인공지능(AI) 기기(카메라, 로봇) 등 AI 개발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공유한다.


AI 스마트시티에선 부산에코델타시티(EDC) 국가시범도시를 세계적 수준의 AI 기반 스마트시티 선도 모델로 조성한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전체를 R&D 실험의 장으로 개방하고 시민이 직접 도시 문제를 발굴·해결하는 시민 주도형 스마트시티 리빙랩을 도입할 예정이다.


동남권 AI 허브에선 AI 인프라를 집적해 공급기업 육성하고 인공지능 전환(AX) 확산거점을 통한 수요기업 인공지능 전환(AX) 지원, 동남권 및 글로벌 연결을 통한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


부산형 AI-MOOC 구축 분야에선 시민과 기업의 AI 일상화를 위한 온라인 AI 교육 플랫폼(ON-BDIA)을 단계별로 추진한다.


AI-양자 협력 인프라 구축 부문에선 양자연구·산업 거점을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교류를 확대해 우수연구자들 유치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AI 시대는 단순한 기술적 발전이 아니라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우리 사회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부산은 22개의 대학, 데이터센터, R&D연구소 등 강력한 산업기반과 인재풀을 갖추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제조·물류 등 다양한 수요기업이 있어 AI 시장이 넓다는 점이 매우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오늘 발표한 종합전략을 바탕으로 부산 전반의 산업과 경제, 문화, 행정, 교육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미래와 시민의 삶 전체를 AI 기반 위에 안착해 나가겠다”며, “이번 종합전략이 글로벌 AI 허브도시 부산의 원대한 비전인 동시에 실현 가능한 로드맵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21914432838380_173994380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