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올해 첫 도정열린회의에서 대한민국 초유의 대통령과 국방부장관 '동시 대행체제'가 국민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조속한 탄핵을 촉구했다.
또 탄핵 정국으로 인해 민생이 숨넘어갈 지경이라며 경기도부터 민생 챙기기를 시작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동연 지사는 17일 의정부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열린 3월 경기도 도정열린회의에서 "군 지휘부의 사고를 당하고서도 보고나 인지하는 것들이 지연되고 있고 언론 공지가 늦어지는 등 문제가 노출되어서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지금 경제, 외교에 이어서 국방까지도 공백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닌지 하는 그런 우려가 있어서 하루빨리 내란이 종식되고 국정이 정상화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히고 경제, 외교, 국방 모든 면에 제자리로 찾아가기를 다시 한번 기대하고 촉구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최근 미국이 (대한민국을) 민감국가 지정하는 것까지 드러나서 지금 엎친 데 덮친 격처럼 지금 경제에도 우리 사회에도 여러 가지 불안감을 주고 있다"며 "지금 서로 네 탓 내 탓할 때가 아니고 (민감국가) 발효가 4월15일이라고 하니까 그전에라도 연초에 제가 제시했던 경제전권대사를 빨리 임명해서 비상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탄핵 정국이 장기화되면서 지금 민생 현장이 숨넘어갈 지경"이라며 "소상공인, 자영업자, 청년 등 민생 취약계층을 촘촘하고 두텁게 보호하는 추경 그리고 글로벌 산업 패권 전쟁 속에서 미래 먹거리 투자에도 더 이상 지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추경 편성을 이미 들어갔다"며 "지금이야말로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할 때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는 끝으로 "올해는 경기도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 된다는 것을 실천으로 보여줬으면 좋겠다"며 "특히 돌봄, 기후, 사회통합, 안전 등 4가지 현안은 탄핵 이후에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반드시 우선적으로 갖춰야 할 과제들로 경기도에서부터 시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