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늑장 대처, 장비 부족 비판 커
인명·재산 피해 최소화 만전 기해야
![]() |
경남 산청 산불은 지리산국립공원 안으로 번졌고, 산불이 동해안을 따라 강원지역으로 북상할 우려도 커지고 있다.
초속 27m에 달하는 강풍과 고온 건조한 날씨 탓에 산불 구역을 추산하기도 어려울 정도라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경북·경남지역에서 어제까지 사상자가 50명을 넘어섰다.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피해자라 안타깝다.
초대형 국가재난이 아닐 수 없다.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이긴 하지만 당국의 늑장 대응, 미숙한 대처가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풍향 등으로 불길의 진로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었는데도 미리 주민들을 대피시키지 않다가 뒤늦게 재난문자를 한꺼번에 보내 혼란을 키워서다.
불길이 임박해서야 대피명령을 받은 사상자들은 미처 피하지 못하거나, 한밤중 혼란스러운 탈출 길에 변을 당했다고 한다.
7번 국도는 대피 행렬로 아비규환이었다.
심지어 청송군은 주민들이 공포 속에 탈출로를 찾고 있는데 대피장소를 4번이나 바꿨다니 어이가 없다.
소방 장비와 대응 인력 부족도 여실히 드러났다.
어제 경북 의성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사망했는데, 기장 나이가 73세이고 30년 된 노후 기종이었다.
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는 총 50대인데 그중 담수 용량이 8t인 대형 헬기가 7대뿐이다.
그나마 2대는 정비 중이다.
산지 화재진압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60대 이상인 산불진화대원들이 장비도 갖추지 못하고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
평소 대비하지 않았던 구조적 문제가 총체적으로 드러난 것 아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산불이 기존의 예측 방법과 예상을 뛰어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만큼 전 기관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지금은 범정부적, 범국민적 역량을 총동원해 불길을 잡고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산불이 장기화하는 것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향후 산불이 더 잦아지고 커질 것이 분명하다.
낙후된 산불 대응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다시 짜야 한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재난 예방은 과하다 싶을 만큼 철저히 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