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제철 제공 |
현대제철은 본격적인 탄소저감 강판 양산을 위해 지난 2020년 가동을 중단했던 당진제철소‘박판열연’공장을탄소저감 자동차강판 공장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에 이 프로세스를 상용화하면 탄소를 약 20%저감한 자동차용 강판을 고객사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이를 위해 독자적인 탄소중립 생산체계인 ‘하이큐브(Hy-Cube)’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하이큐브 기술은 신(新)전기로에철스크랩과 직접환원철(DRI),고로에서 생산한 쇳물 등을 혼합 사용하는 방식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유럽 상용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포드 오토산의<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 프레스 테스트>첫 주자로 참여해 적합성을 검증받는 성과를 거뒀다”며 “지속적으로 복합 프로세스를 연구개발해 탄소저감 제품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현대제철 제공 |
이와 관련해 현재 3세대 자동차용 강판 생산을 위한 설비 개조 및 증설을 추진 중이며 연내상업 생산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현대제철은 지난해 글로벌 완성차 회사(현대차·기아제외)에100만톤 이상의 자동차 강판을 판매하는 기록도 세웠다.
2010년 당진제철소 준공 이후 현대제철이 글로벌 자동차 고객사에 자동차용 강판을 100만t넘게 판매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제철은 전체 자동차용 강판 판매 비중의 20%가량인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판매 비중을 최대 약200만 톤 까지 늘려 자동차용 강판 시장에서 글로벌 ‘톱3’로 올라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