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남교육감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김 교육감은 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현직 대통령이 군대를 동원해 민주주의와 헌법을 무력화시키려 한 내란 행위에 대한 준엄한 처벌을 통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적 입장을 떠나 민주주의와 헌법 가치를 수호하는 것에 대해 불관용의 국민적 합의를 끌어내야 할 것”이라며 “나아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억압해 온 비상계엄이 우리 역사에서 영원히 사라지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육감은 “국민들이 주권자로서 민주주의와 헌법을 지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민주주의와 헌법을 훼손한 12·3 비상계엄 사건이 일어나고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 헌정 문란 사태가 정돈되는 것을 지켜봤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민주주의나 헌법이 다른 제도와 달리 주권자인 국민의 의지와 노력이 담겨야 함을 상기시켜 줬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세대는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는 말을 듣고 살았다.
다른 나라의 민주주의도 그러했듯 대한민국 민주주의도 앞선 세대의 많은 희생과 노력을 통해 키워왔다”며 “다음 세대는 ‘민주주의는 관심과 의지만으로도 잘 자란다’는 말을 듣게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육감은 지난 1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생중계 방송을 전남 도내 학교에 자율적으로 시청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