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등이 공동접속설비인 양육점 입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현지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은 데다 민관협의회 위원들의 ‘외유’를 지원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다.
부안군 고압 송전철탑 반대대책위원회는 8일 전주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해상풍력과 서남권 해상풍력 민관협의회가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 없이 부안 변산면 대항리를 양육점으로 확정했다고 주장했다.
양육(洋陸)점은 해상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로 보내기 위해 해저케이블과 연결하는 설비로, 전력계통연계 핵심 시설이다.
![]() |
전북 서남권해상풍력실증단지 모습. 전북도 제공 |
대책위에 따르면 양육점에서 신정읍 변전소로 연결되는 345kV 송전선로가 부안 하서·상서·행안·주산면 등 여러 지역을 관통하게 돼 전자파에 의한 건강권 침해와 지가 하락, 조망권 훼손 등이 예상된다.
주민들은 “일방적인 사업 추진은 주민 갈등을 유발하고 희생을 강요하는 처사”라며 양육점 결정의 원천 무효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또 한국해상풍력㈜과 서남권 해상풍력민관협의회 위원 등 5명을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위원들이 한국해상풍력㈜으로부터 1인당 994만원 상당을 지원받아 프랑스·벨기에를 다녀온 사실을 문제 삼았다.
방문 목적은 ‘해상풍력단지 견학‘이었지만, 일정 대부분이 이와 무관한 모네의 그림 배경지 에트르타 절벽, 르망 생 쥘리엥 대성당, 개선문, 콩코드 광장 등 외유성 관광 중심이었다는 주장이다.
부안군이 사업 추진 명분으로 발전소 지원기금과 월 20만원 연금 지급 등을 내세우며 주민들 간 찬반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양육점 입지 선정과 송천선로 등은 한전과 협의해 추진 중이며, 지난해 한 차례 주민설명회를 실시했지만, 공론화는 다소 미흡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한국해상풍력은 대가성 외유 주장에 대해 “다양한 해상풍력발전단지와 국영 에너지 기업 자회사 등의 방문·견학이 주된 일정이었다”며 “견학지와 식사 장소, 숙소 등 이동 경로에 있는 문화답사가 일부 포함된 것을 과장·왜곡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은 2011년 정부가 ‘해상풍력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추진됐다.
고창·부안 해역을 해상풍력 집적화 단지로 지정해 총 14조원을 투자해 2.46GW 규모의 발전단지를 조성하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시범단지(400㎿)와 확산단지(2.0GW) 등으로 나눠 단계별로 추진 중이다.
현재 60㎿ 실증단지 구축이 마무리됐고, 시범단지를 조성 중이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