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경주에 320억 들여 SMR 제작지원센터 들어선다

경주 SMR 국가산단 내 구축
원전기업 제작역량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거점 기대


경북 경주에 차세대 원전으로 각광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을 3D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시험 제작하는 센터가 들어선다.

경주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소형모듈원전(SMR) 제작지원센터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경주 SMR 국가산단 조감도. 경주시 제공
이번 사업은 3D프린팅 기반의 SMR 제작지원센터를 조성해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제작 역량을 높이고, 차세대 원자력 산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경주시는 경북도와 함께 320억원을 들여 문무대왕면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내에 1만 6500㎡(약 5000평) 규모의 제작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사업 기간은 5년으로, 한국재료연구원이 사업을 주관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포스텍, 대한전기협회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이 정부의 SMR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을 환영하고 있다.
경주시 제공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는 전기출력 300메가와트(MWe) 이하의 소형 원자로로, 모듈 형태의 제작이 가능하고 제어계통이 단순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와의 연계성도 뛰어나 차세대 원전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기존 대형원전과 비교했을 때 10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축소도 가능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80여 종의 SMR이 개발 중이며, 2035년까지 약 650조원 규모의 시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이 i-SMR 홍보부스를 살펴보고 있다.
한수원 제공
경주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월성원자력본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중수로해체기술원 등 원전 관련 기관이 집적된 지역인 만큼 관련 기술 개발의 최적지로 손꼽힌다.

시는 센터 유치를 계기로 글로벌 SMR 산업 진출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원자력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경주시와 경북도는 오는 2032년 준공을 목표로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SMR 제작지원센터는 원전 기업의 기술력 강화 및 인재 양성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주=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409518455.jpg
  • newhub_20250409518456.jpg
  • newhub_20250409518457.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