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트럼프 2.0 시대’를 앞두고 국내 산업계가 적극 대응하는 한편 협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트럼프 2.0시대 한미동맹 및 통상 전략 모색 토론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최대 관심사인 ‘대외 무역적자 대상국’ 명단에서 한국은 미국에게 8위 적자 대상국”이라며 “해외직접투자 634억달러(2023년말 현재 기준)의 43.7%도 미국에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위원은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등에 대한 대미 투자가 집중되면서 미국 제조업 투자가 큰 폭으로 늘었고, 미국 집중도도 높은 수준”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주요 산업별 공약과 입장에 대해서는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미국에 불리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미국 외 생산 차량에 100%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고 강조했다. 미 대선 결과가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전기차 시장이 위축되면서 국내외 투자가 조정되고 전기차 공장의 용도 변경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자동차 수출 위축, 중국 물량 대체 부품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첨단 제조기반 및 생태계 조기 안착을 위한 보조금이나 세액공제 혜택 축소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으로 “삼성전자의 국제정치적 리스크는 중국 SMIC, 대만 TSMC에 비해 낮으나, 첨단공정 파운드리 수주에 불리하므로 현지 고객사 수주 및 시설 조기 완공·안정화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또 “미국이 팹리스 세액공제(25%) 확대 시 한국 기업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우리 기업 시설투자의 지원 수준을 강화하고 공기(工期) 단축을 위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