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자영업자의 사업 실적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숙박업·도소매업·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상대로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답한 비중이 72.6%에 달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 감소 폭은 평균 12.8%로 집계됐다.
지난해 순이익이 2023년 대비 줄었다고 답한 경우도 72.0%에 달했다.
이때 감소 폭도 평균 13.3%로, 10% 선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과반은 올해도 실적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매출 전망이 지난해 대비 감소할 거란 응답은 61.2%로 절반을 크게 웃돌았다.
순이익 전망도 62.2%가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다.
올해 매출·순이익 감소 폭은 평균 6.5%·7.2%로 전망됐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지난해 기준 1억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3000원으로, 연평균 8.4% 수준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었다.
한경협은 예금은행 평균 대출금리가 4.7%, 소액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자영업자 상당수가 은행 외 제2금융권 등을 통해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영업자 가운데 43.6%는 향후 3년 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

자영업자들이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경영 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부의 지원 대책으로는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을 꼽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조로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되고 내수가 얼어붙으면서 수많은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는 만큼 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 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