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LG전자, AI로 '품질 예측 시간' 99% 줄였다…공정 신기술 개발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LG전자는 27일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 품질 예측에 매번 3~8시간이 소요됐지만, 이번 AI 기술 도입으로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품질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기존 딥러닝 기반 AI 기술과 비교해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했으며, 메모리 사용량은 1/10 수준으로 줄였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동시에 품질 예측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됐다.
예측 결과를 3D 형태로 시각화해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도 차별점이다.
LG전자는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도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이 AI 기술을 자체 제조 공정 혁신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과 TV, 차량용 전장 부품 설계에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에도 적용해 제조업 컨설팅 및 외부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 LG전자 생산기술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외부 수주 규모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4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가전 산업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약, 화학 등 다양한 산업으로 고객군을 확대하며 2030년까지 조 단위 매출을 기록하는 사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생산 시스템 설계·모니터링·운영 ▲빅데이터 및 생성형 AI 기반 설비·공정 관리 ▲산업용 로봇 등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여기에 이번 AI 기반 품질 예측 기술을 추가해 제품 개발 및 생산 요소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박찬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연구해왔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AI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머신러닝학회(ICML)에 제출해 학술적으로 기술 검증을 받을 계획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사장)은 "스마트팩토리 전(全)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AI 기반 검증 기술을 통해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707565385531_1743029813.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