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車부품업계 "통상환경 변화 대응 자구적인 혁신·변화 필요"

자동차부품 업계가 미국의 관세 부과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자구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은 27일 서울 엘타워에서 자동차 산업의 주요 관계자 및 전문가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춘계 자동차부품산업 발전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안정구 재단 이사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변화의 흐름에 대한 정확한 통찰과 선제적인 대응전략 수립이 중요하다"며 "업계가 직면한 핵심 이슈를 심도있게 분석하고 보다 실질적인 솔루션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품 산업이 최근 직면한 전기차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국내 저출산·고령화 등을 언급하면서, "정부가 통상환경 변화에 기업들이 적응하도록 해외판으로 다변화 방안도 마련하고 있어, 부품업계도 자구적인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이사장은 "산업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미국의 무역 정책 및 대한민국 인구 구조 변화에 주목하고, 우리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들을 함께 검토했다"면서 "어려움을 극북하고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 부품사들의 경험과 지혜를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세미나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최윤석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팀장은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관세 애로 대응체계 운영, 수출 다변화 및 친환경차·이차전지 분야 역량 강화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부품산업계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여러 관련 기관들을 통해 다각적인 의견을 수집 중이니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저출산, 고령화, 지역인구 감소보다 인구 지체 현상에 주목해야 한다"며 "기술혁신 및 시장 다각화 뿐 아니라 인구 관점의 시장 수요 및 변화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성규 HMG 경영연구원 상무는 "2차 대전 이후 유지되던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등장을 기점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결과가 세계 경제질서에 미칠 파장이 크기 때문에 각각의 시나리오를 고려한 꼼꼼한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2717181187008_1743063491.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