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이미 손상된 시력도 회복” 카이스트 연구팀, 세계최초 망막 재생 성공

이미 손상된 시력도 회복할 수 있는 망막 재생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치료제가 전무했던 퇴행성 망막 질환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원(PROX1)’ 단백질을 차단하는 물질을 질환모델 생쥐 안구에 투여해 망막조직의 신경재생과 시력회복을 유도하고 효과를 6개월 이상 지속하는 데 성공했다.

포유류 망막에서 장기간 신경 재생을 유도한 세계 최초의 사례로, 치료제가 전무했던 퇴행성 망막질환 환자들에게 빛이 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망막 질환을 앓고 있는 인구는 3억명 이상에 이른다.
손상된 환자의 망막과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은 아직 없다.

망막 재생이 활발한 어류와 같은 변온동물을 통한 연구에 따르면 어류는 망막손상 시 망막 내부에 존재하는 뮬러글리아(M?ller glia)라는 세포가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한 뒤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이 기능이 사라져 망막 재생이 이뤄지지 못해 손상이 영구적으로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손상된 망막의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프록스원 단백질이 뮬러글리아로 이동해 신경 재생을 억제함을 확인했다.

이에 프록스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해 프록스원이 뮬러글리아에 도달하기 전에 세포 밖에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선천성 망막 퇴행성질환 생쥐를 대상으로 망막 조직의 신경 재생과 시력 회복을 유도했다.
그 효과는 6개월 이상 지속됐다.

연합뉴스(KAIST 제공)
포유류 망막에서 장기간 신경 재생을 유도한 세계 최초의 사례다.

김진우 교수가 창업한 벤처 ‘셀리아즈’에서 다양한 퇴행성 망막질환에 적용하기 위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2028년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1 저자인 이은정 박사는 “프록스원 중화항체의 효능을 개선하는 작업이 마무리돼, 여러 동물을 이용해 시력 회복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실명의 위험에 노출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 2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331503294.jpg
  • newhub_20250331503323.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