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현대차, 동탄서 교통약자 이동개선 실증 사업

현대자동차가 수요응답교통 플랫폼 셔클(SHUCLE)과 특수 개조 차량 R1을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이동성 개선에 나선다.


1일 현대차는 향후 5개월 동안 경기도 화성특례시 동탄1신도시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특수 개조 차량과 셔클 플랫폼으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실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기존 장애인 대상 호출 택시 차량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는 차량 뒤로 열리는 문으로 탑승하고, 3열에 위치한 채 이동해야만 했다.
승차감도 불편하고 동승자와 떨어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대차는 휠체어를 탄 사람도 2열 도어로 탑승할 수 있도록 유니버셜 디자인을 기반으로 ST1을 개조한 특별교통수단 'R1'과 함께 수요응답교통 셔클 플랫폼을 활용해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R1은 기존 ST1 차량에 저상화 플랫폼, 휠체어에 탑승한 채 옆문으로 승차가 가능한 입구, 휠체어 사용자용 안전벨트, 가변형 시트 등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 휠체어에 앉은 채 옆문으로 탑승하고 동승자와 나란히 앉아 이동 가능한 특별교통수단은 R1이 유일하다.


또한 저시력자와 청력 장애가 있는 탑승객을 배려한 기능도 탑재됐다.
차량 전면 디스플레이와 전·후석 디스플레이, 고대비 화면 전환 기능 등을 적용해 저시력자나 청력 장애가 있는 탑승객도 차량 밖에서 쉽게 차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화면을 통해 기사님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청력 장애 탑승객의 이동 경험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이번 실증 서비스에 셔클 플랫폼을 활용한다.
셔클 플랫폼은 현대차가 개발 및 운영 중인 수요응답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서비스다.
이용자가 차량을 호출 시 차량은 최적 경로를 따라 도착지까지 이동한다.
이동 중 신규 호출이 발생하면 합승 알고리즘을 통해 유사한 경로의 승객이 함께 탑승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경로를 재구성하거나 다른 차량을 배차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이번 실증사업에서 현대차는 셔클 플랫폼 앱에 국내 최초로 전자 바우처 기능을 탑재했다.
전자 바우처 기능으로 운영사는 영수증 증빙 절차 등의 행정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용자는 앱을 통한 차량 호출도 가능해진다.


'셔클 교통약자 이동서비스'는 중증장애인 증명을 받은 내국인이라면 누구나 일 2회까지 동승자 2인을 포함해 무료로 탑승이 가능하다.
다만 최초 한번은 셔클 앱을 통한 인증을 받아야 한다.


김수영 현대차 모빌리티사업실 상무는 "이번 실증은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이라는 사회 현안에 대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지자체와 협력하여 검증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며 "앞으로도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모든 사람이 이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40108580591645_1743465485.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