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차량용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을 위한 전략 거점으로 인도연구소를 확대 운영한다.
현대모비스의 주요 수주 품목에서 SW 탑재한 제품이 늘면서 이를 해석하고 검증하는 인도 연구소의 역할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7일 현대모비스는 인도 텔랑가나주 하이데라바드에 SW 전문 연구거점을 통합 개소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07년 제1 인도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2020년에는 제2 연구소를 구축하고 운영해왔다.
최근 수년간 SW 연구개발 인력이 늘어나자 분산된 연구거점을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대규모 연구 시설을 마련한 것이다.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하이데라바드 중심부에 위치한 통합 연구거점의 연면적은 약 2만4000㎡다.
또한 글로벌 주요 IT기업들이 밀집한 상업지역에 위치해 우수 소프트웨어 인재 확보가 용이한 입주 조건을 갖추고 있다.
10층 규모의 건물에는 연구공간과 데이터센터, 시험실과 교육실, 협력사 업무공간, 임직원들의 휴게 시설 등이 갖춰져 있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SW 통합 연구 거점을 구축한 이유는 급성장하는 인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글로벌 조사 기관에 따르면 인도 신차 판매량은 520만대 수준으로 세계 3위 규모다.
오는 2028년 연 판매량 약 62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도 자동차 시장이 과거 소형차 중심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위주로 전환하면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같은 자율주행 2단계 신기능 적용이 활발해지는 추세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인도연구소의 풍부한 SW 개발인력을 바탕으로 제품 원가 경쟁력과 성능, 품질과 기술을 견인하는 연구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하이데바라드 인도연구소 인근 차량용 SW 업체와 협업해 외부 생태계를 조성하고 우수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도연구소를 독자적인 사업역량을 갖춘 글로벌 SW 허브로서 육성하고, 나아가 해외 완성차를 대상으로도 통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전진기지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앞으로 현대모비스는 신규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인도연구소의 참여를 늘리고 현지 차종의 SW는 인도에서 자체 개발하며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효율화를 중점 추진하는 등 인도연구소의 SW 연구개발 범위를 확대한다.
이종근 현대모비스 인도연구소장은 "인도연구소는 개발자 풀(Pool)이 넓어 새로운 연구개발 시도가 많이 이뤄지는 곳"이라며 "20여년에 가까운 양산차종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SW 고도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제품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