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페이지 홈페이지 캡처. |
유통 플랫폼에 올라오는 작품 수가 감소하는 추세다.
그런 와중에 절반 이상이 성인물로 나타나는 변화까지 포착됐다.
12일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발간한 ‘2024년 만화·웹툰 유통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웹툰 작품 수는 총 1만8792개로, 전년도(2만141개) 대비 6.7% 감소했다.
1년 새 7% 가까이 줄어든 것. 플랫폼 별로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주력 플랫폼인 카카오페이지의 유통 작품이 2023년 1401개에서 지난해 1176개로 16.1% 줄었고, 카카오웹툰의 작품은 총 486개에서 379개로 22.0% 감소했다.
반면 네이버웹툰 유통작은 353개에서 424개로 20.1% 늘었다.
네이버시리즈의 경우 2304개에서 2775개로 20.4% 증가했다.
신작의 감소세가 크다.
국내 34개 플랫폼에서 연재 정보가 확인된 작품을 통계 분석한 결과, 등록된 전체 신작 수는 2023년 1만7245개에서 지난해 1만4723개로 줄었다.
14.6%나 감소했다.
우리나라 웹툰 시장은 2020∼2023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호황을 맞았지만 엔데믹 이후 외부 활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성장이 둔화됐다.
지난해에는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던 중소 플랫폼 만화경이 문을 닫기도 했다.
업계가 어려워질수록 수위 높은 성인물만 쌓이고 있다.
지난해 등록된 웹툰 가운데 ‘18세 이상 이용가’ 성인 웹툰의 비중은 57.7%에 달했다.
비중이 가장 높은 플랫폼은 봄툰(83.4%), 짱만화(82.0%), 북큐브(71.9%), 레진코믹스(71.3%)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형 플랫폼 가운데서는 네이버시리즈가 48.6%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카카오페이지는 17.0%, 카카오웹툰과 네이버웹툰은 각각 6.6%, 5.2%에 그쳤다.
웹툰 제작사 관계자는 “업계가 어려워지면서 충성 독자층이 확실하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보이즈 러브(BL)나 수위가 높은 작품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정원 기자 garden1@sportsworld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