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규모는 줄었지만 부실 위험은 커지고 있어 회생 가능한 사업장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1월 건설 브리프'에 따르면 부동산PF 규모는 2023년 말 약 231조원에서 지난해 3분기 말 약 210조원으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유의(C등급)와 부실우려(D등급)로 평가된 PF규모는 약 9조원에서 약 23조원으로 급증했다.
![](//cdn2.ppomppu1.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7/newhub_2024090411042917706_1725415469.png)
부동산 PF의 비중을 보면 본PF 비중은 71.7%, 브릿지론 11.0%, 토지담보대출은 17.3%로 나타났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PF는 규모는 감소하고 있지만 부실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PF 유형별 악화우려 비중은 본PF 3.1%, 브릿지론 20.8%, 토담대 37%로 나타나 사업초기 PF의 부실이 더욱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어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건설산업 활력 제고 방안'이 정상 사업장 중심의 PF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지원은 부족하다"고 했다.
정부는 PF 정상화 방안으로 신디케이트론 규모를 기존 1조원에서 2조원으로 늘리고, 이를 단계적으로 5조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그러나 현재 계획된 2조원은 C등급 및 D등급 본PF 규모인 4조6000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cdn2.ppomppu1.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7/newhub_2025012620191213852_1737890352.png)
김 연구위원은 "PF 사업장의 평가는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빠르게 달라질 수 있다"며 "C등급에 해당하는 약 8조2000억원 규모의 PF 사업장 가운데 다수는 중장기적으로 개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부실 우려가 큰 사업장을 중심으로 조정과 재구조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C등급 사업장의 회생 가능성을 세분화해 지원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재 C등급 본PF(2조원)와 브릿지론(1조9000억원), D등급 본PF(2조6000억원) 등 7조5000억원에 달한다.
김 연구위원은 "회생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이 자금 부족으로 무너지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며 "현재 2조원으로 책정된 신디케이트론 규모를 최소 3조~4조원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