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낸 재테크 자산은 비트코인과 금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과 부동산, 엔화 투자는 별다른 소득이 없거나 오히려 손실을 봤다. 27일 대신증권이 지난해 초부터 지난 23일까지 자산별 재테크 수익률을 집계한 결과 비트코인(미국달러 기준)의 수익률이 133.79%로 가장 높았다. |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강남점에 가상화폐 실시간 거래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해 1월 2일 4만4184.37달러로 시작한 비트코인 가격은 23일 1만3296.57달러로 증가했다. 국내 금 한돈(3.75g)의 도매가격은 36만7000원에서 54만2000원으로 1년 새 47.68% 올랐다. 투기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비트코인과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이 모두 급등한 것이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금은 안전자산 수요보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사이클 시작과 가팔라진 미국채 발행 속도와 이에 대한 불신,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금 매입 가속화 등의 영향을 받았다”며 “작년 초부터 중국 부동산 시장 침체, 비트코인 거래 금지, 주식시장 부진 등으로 갈 곳을 잃은 중국 개인 자금이 금으로 유입되며 ‘금콩’ 투기 열풍으로 이어진 영향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미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잇따라 경신하며 해외 주식 투자도 상당한 수익을 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DR S&P 500 상장지수펀드(ETF)는 이 기간 28.93% 올랐다. 미국 달러 투자(11.21%), 채권(7.00%), 원유(6.02%)도 예금 수익률(4.14%)을 넘는 수익률을 나타냈다. 반면 지난해 내내 약세를 보였던 국내 주식 투자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코스피200와 연동된 대표적인 상장지수펀드(ETF) KODEX200의 수익률은 -7.43%, 간접투자 방식인 국내주식펀드의 평균수익률도 -0.46%로 나타났다. 엔저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일본 엔 투자 수익률은 0.30%로 미미했다. 부동산 수익률도 부진했다. 한국부동산원의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는 96.04에서 96.30으로 0.27% 오르는 데 그쳤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