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석화 위기, 원하청이 함께 넘을까…인천·석유화학업 상생협의체 발족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1동 고용노동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1동 고용노동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고용노동부는 인천 지역의 석유화학업계의 상생협력 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인천·석유화학업 상생협의체 발족식'을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상생협의체는 원청사·협력사, 전문가, 정부 등으로 구성된 협의기구다.
원하청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협력과제를 발굴하고 이행·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지역·업종 단위로 상생협력 모델 확산을 추진 중이다.
원하청 간 임금, 복지, 근로여건 등의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상생협의체 운영과 협력과제의 이행에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을 한다.
고용부는 인천·석유화학업 상생협력 모델을 통해 위기 산업인 석유화학업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은 수도권 유일의 석유화학 단지가 있다.
글로벌 공급과잉·수요 둔화 영향을 받고 있는 석유화학업의 경쟁력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또 지역 상황에 맞는 세밀한 분석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만큼 인천시가 주도한다.
산업은 지역 경제의 한 축인 만큼 지자체가 주도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인천시는 지난해 고용노동부 지역혁신프로젝트 사업 최우수등급 기관으로 선정된 만큼 전문성이 높다.
 
대기업인 SK인천석유화학도 참여한다.
SK인천석유화학은 기존에도 협력사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협력사와 지역사회를 위해 원청사 구성원이 기본급의 1%를 자발적으로 내면 기업이 매칭하는 '1% 행복나눔기금'을 조성한 것이 대표적이다.
대기업 원청사 참여는 상생협력의 신뢰를 높이고 확산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고용부의 판단이다.
상생협의체는 향후 구체적인 상생협력 과제를 찾아 상생협약을 체결한 뒤 협약 이행을 위한 세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논의 과제는 안전하고 건강하며 쾌적한 일터 조성과 지역 사회 인력난 해소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유진 고용부 노동정책실장은 "원청사와 협력사의 상생협력은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상생협력을 통해 인천·석유화학업이 위기를 딛고 한층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주경제=김성서 기자 biblekim@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