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무려 2514만명? 물가 치솟고 주머니 가벼워져도 ‘여긴’ 가야지~” [일상톡톡 플러스]

국내 항공사들, 日·中 노선 운항 확대
고물가·고환율에도 비용부담 적은 편
높은 탑승률 바탕으로 수익성 극대화


국내 항공사들이 여행 수요가 높은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을 확대하고 있다.
고물가와 고환율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적은 두 국가에 대한 여행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항공사들은 높은 탑승률을 바탕으로 수익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30일 국토교통부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계 항공 스케줄 기간(3월 30일~10월 25일) 동안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은 지난해 115개에서 128개로 증가했다.
현재 여객편을 운항하는 10개 항공사 중 장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중국 또는 일본 노선을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작년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4회로 늘렸다.
올해 하계 기간 동안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 운항하며, 이는 2019년 수준의 약 90%에 해당한다.
또한, 다음 달 18일에는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해 주 2회 운항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해 주 7회(매일) 운항을 시작했다.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확대했다가 다음 달 28일부터는 8회로 추가 증편할 예정이다.
인천~창춘 노선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는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제주항공은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 운항을 재개한다.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작년 하계 스케줄 기간 주 22~27회에서 올해 28회로 확대했다.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에서 14회로 두 배 증가했다.

티웨이항공은 다음 달 21일과 22일 청주발 및 대구발 중국 옌지 노선에 각각 주 3회 신규 취항하며, 5월 22일부터는 인천발 우한 노선에도 주 3회 항공편을 운항한다.

진에어는 다음달 3일 인천발 일본 이시가키지마에 주 5회 일정으로 단독 취항할 계획이다.
부산~나고야 및 후쿠오카 노선도 주 7회 운항을 재개한다.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확대한다.
부산~시안 노선은 주 2회 재운항한다.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동계 시즌 운항하지 않았던 제주~상하이 노선을 주 7회, 청주~장자제 노선을 주 4회로 다시 운항한다.

에어로케이는 청주발 중국 쿤밍, 청두, 황산, 오르도스 등 노선과 일본 이바라키, 오비히로, 기타큐슈, 시즈오카 등 소도시 노선을 운영하며, 인천에서는 도쿄와 오사카 등 대도시 중심으로 운항할 계획이다.

에어서울은 오는 31일부터 인천발 요나고행 단독 노선을 주 3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게티이미지뱅크
항공업계에서는 물가와 환율 부담이 비교적 낮은 중국과 일본의 여행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 국제선 승객 출발·도착지 중 일본(2514만명)은 전체의 28.3%, 중국(1377만명)은 15.5%를 차지하며 개별 국가 기준으로 1,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지난해 말 엔저 효과가 다소 약화됐지만, 소도시를 찾는 여행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한국인 여행객이 크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항공사들이 중국과 일본 노선 운항을 확대하는 이유로 고물가와 고환율 속에서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적은 두 국가에서의 수요 증가를 꼽는다.
여행 수요 회복과 함께 항공사들의 수익성 확대를 위한 전략적 조치라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사들은 일본과 중국에서의 물가 및 환율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고, 한국인 여행객들이 증가하는 흐름을 활용해 수익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