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하루는 길어요… 1시간 내 배송 가능하면 주문할게요” [수민이가 궁금해요]

하루도 길다, 1시간 내 배송 가능… 'K-배달' 불타는 퀵커머스 경쟁

주문 1시간 내외에 배송해주는 퀵커머스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최근 대형마트 1위 이마트와 균일가 생활용품 강자 다이소, 전자상거래(이커머스)를 강화하고 있는 네이버까지 퀵커머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유통업 경쟁력에서 배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왕십리·구로점이 지난해 11월 배달앱인 배달의민족(배민)에 입점해 퀵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점포 반경 2㎞ 내외에 거주하는 고객은 배민앱을 통해 신선식품을 비롯한 장바구니 물품을 주문하면 1시간 이내에 배송받을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마트 관계자는 “최근 대형마트의 경쟁력 있는 상품을 빠르게 배송받고자 하는 고객의 수요를 반영했다”며 “시장 환경 변화에 발맞춰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새로운 고객 경험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는 수도권 외에 지방 점포에서도 퀵커머스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네이버도 연내 퀵커머스 진출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쇼핑앱을 출시하며 커머스 플랫폼으로서의 보폭을 넓히고 있는 네이버는 오늘 배송, 내일 배송, 새벽 배송 등을 도입하며 배송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네이버가 새로 선보이는 배송 방식 중에는 주문 1시간 내외에 주문 상품을 배달해주는 ‘지금 배송’이 있다.
이른바 ‘네이버판’ 퀵커머스다.
서울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쿠팡 배송차량. 연합뉴스
지난달에는 다이소가 서울 강남과 서초, 송파 등 일부 지역에 ‘오늘배송’ 서비스를 시범 도입하며 퀵커머스 시장에 진입했다.

다이소 역시 매출 추이를 지켜보며 퀵커머스 서비스 범위를 점차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와 네이버, 다이소의 퀵커머스 시장 진출로 경쟁 구도는 한층 복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유통업 퀵커머스 시장은 배민이 운영하는 배민B마트와 편의점(GS25)·슈퍼마켓(GS더프레시) 사업을 하는 GS리테일, 대형마트 2위 업체인 홈플러스 등이 경쟁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의 '오늘드림', 컬리의 '컬리나우' 등도 주요 퀵커머스 서비스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서울 시내에서 배달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이처럼 유통업체들이 퀵커머스에 사활을 거는 것은 빠른 배송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이 늘어난 데다 유통업 경쟁력에서 배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고물가로 집밥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는 추세와 맞물려 신선식품이나 가정간편식(HMR) 등을 중심으로 근거리 빠른 배송 수요가 늘어나는 점도 작용했다.

시장 성장성도 주목된다.

국내 퀵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0년 3500억원에서 올해는 5조원대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증가율은 220%에 달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장기화하는 내수 침체와 경쟁 심화로 매출, 신규 고객 유입의 활로를 찾아야 하는 유통업체들에 퀵커머스는 하나의 '블루오션'”이라며 “빠른 배송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만큼 퀵커머스 시장 경쟁은 더 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럩伊숋옙館嫄ュ뜝�뚮폇�좎룞�숋옙�⑹맶占쎌쥜��
HTML�좎럩伊숋옙恝�뽫뙴�쒕㎦占쎌쥜��
�낉옙�붺몭�겹럷占쎄퀣�뺧옙�⑥삕占쏙옙�앾옙��뮔�좎룞��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