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순환지수도 상승했다.
하지만 3대 지표가 모두 감소했다가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하는 등 오락가락한 경기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소비 심리 위축이 이어지면서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3년 만에 최대폭 하락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전산업생산 지수는 111.7(2020년=100)로 전달보다 0.6%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해 12월 1.8% 늘어난 데 이어 올해 1월 -3.0%로 감소했다가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9.1%) 등 제조업(0.8%)에서 늘며 전달보다 1.0% 늘었다.
건설업 생산은 건축(-2.2%)에서 실적이 줄었지만 토목(13.1%)에서 증가해 1.5% 늘었다.
건설업 생산은 지난해 8월(-2.1%) 이후 감소세를 이어오다 7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하지만 숙박·음식점업은 3.0% 줄며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말 항공기 사고, 탄핵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위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 지수도 전달보다 1.5% 증가했다.
승용차(13.5%) 등 내구재(13.2%) 판매가 늘어난 것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승용차 판매는 보조금 집행 영향으로 2020년 3월(48.6%)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투자가 늘면서 전달보다 18.7% 증가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1포인트 상승했다.
생산·소비·투자 지표는 지난해 11월 모두 감소한 뒤 매달 트리플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월에도 지표상으로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늘었지만, 바로 전월 트리플 감소 뒤 통계적으로 조정을 받는 측면이 있는 만큼 앞으로 상황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정부 측의 설명이다.
세종=안용성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