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탄핵 당시 대비 경제 불확실성 높아
고금리·고환율 여전…소비심리 회복 미지수
![]()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인용한 가운데 유통업계가 소비심리 회복, 업황 회복 전망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팩트 DB |
[더팩트|우지수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내려졌지만 유통업계는 소비 심리 회복으로까지 이어지기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는 분위기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탄핵 이후 소비 회복을 기대하기보다 신중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고금리, 고환율 등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같은 낙관론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다.
지난 2016년 10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이 본격화된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102.7에서 2017년 1월 93.3까지 하락했다. 그러다 이듬해 2월에는 94.4로 반등했고, 3월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직후에는 96.7, 4월에는 101.2를 기록하며 기준선인 100을 넘어섰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웃돌면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평균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번에는 박 전 대통령 탄핵 때와 같은 반등세가 나타날지는 불투명하다는 전망이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2월(95.2)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네 달 연속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고 반등세가 이어지지 못한 점에서 유통업계는 소비심리 회복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또 고금리와 고환율 상황이 함께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 리스크를 제외하더라도 소비심리가 회복하긴 어렵다는 예측이 나온다.
지난 2월 25일 한국은행이 결정한 기준금리는 2.75%로 박 전 대통령 탄핵 당시 1.25%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고금리는 대출 이자 부담을 키워 필수 소비 외 지출을 줄이고 내수 회복의 동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2017년 당시에는 저금리 기조 덕분에 소비 여력이 유지됐다는 분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자 부담에 가계 지출이 움츠러들고 있다. 특히 중산층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소비 둔화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환율 기조도 길어지고 있다. 탄핵 선고 직전 원·달러 환율은 1440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2017년 3월 당시(약 1150원)와 비교해 약 300원 높은 수준이다. 고환율은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유통업체의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소비자 입장에서도 수입 제품 가격 인상과 할인 축소 등 체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특히 수입 비중이 큰 면세점과 백화점 등 주요 유통 채널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유통업계는 법정관리·매각 등 경영 위기를 겪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초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애경그룹은 핵심 계열사 애경산업의 구조조정과 매각을 검토 중이다. 발란, 티몬, 위메프 등 온라인 플랫폼 업체에서는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이어지며 사업 전반의 신뢰도 타격을 입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은 긍정적이지만 업계의 구조적 위기를 반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며 "국내 정치 외에도 대내외 다양한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만큼 상황을 지켜보며 소비 회복 신호가 올 때 이를 붙잡을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index@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