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부, 관세 발표 뒤 '틱톡 거래 승인 않겠다' 방침
미국내 틱톡 금지 유예 75일 연장
![]()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 금지 유예 시간을 75일 연장했다. 중국 정부가 관세 문제 등으로 매각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협상의 여지를 열어놓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뉴시스 |
[더팩트 | 김태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에 중국이 반발하며 틱톡의 미국 인수에 제동을 걸자 트럼프 정부가 4일(현지시각) 틱톡 금지 유예 시간을 75일 연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틱톡이 미국에서 계속 운영될 수 있도록 75일간 금지를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은 미국 기업이 추진하는 틱톡 인수 협상에 제동을 걸었다. 관세에 대한 협상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해당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틱톡은 미 의회가 채택한 법률에 따라 지난 1월 19일까지 중국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 미국 내에서 금지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트럼프가 시한을 90일 연장하면서 틱톡 인수 협상을 지원해왔고, 최근 틱톡의 일부 지분을 사려는 여러 미국 기업들의 제안을 검토해왔다.
이와 관련해 틱톡과 그 핵심 알고리즘을 소유한 중국의 바이트댄스는 틱톡이 매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도 인수 협상에 응해왔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거래를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밝히면서 바이트댄스가 거래 조건을 제시할 수 없게 되자 이날 트럼프가 시한을 다시 75일 연장했다.
트럼프는 추가 유예 기간 동안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에 "정부가 틱톡을 구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엄청난 진전을 이뤘다. 필요한 모든 승인을 위해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틱톡이 추가로 75일 동안 운영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트댄스는 미국 정부와 잠재적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해왔음을 인정하면서도 "아직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어떠한 합의도 중국 법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