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1480원 뚫었다, 금융위기 수준 치솟은 환율…변동성 언제까지(상보)

트럼프발 관세 전쟁 격화에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수준까지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관세 부과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을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 만큼, 관련 소식에 급등락하는 변동성 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봤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10.9원 오른 1484.1원에 마감했다.
주간 거래 종가 기준으로 2009년 3월12일(1496.5원) 이후 16년 만의 최고치다.
전날에 이어 금융위기 당시 원·달러 환율 기록을 또다시 경신했다.


이날 오전 전날 주간 종가보다 10.8원 오른 1484.0원에 개장한 원·달러 환율은 장 초반 1487.5원까지 치솟았다.
오전 장 중 1476.9원까지 주춤했으나 다시 상승 폭을 키워 1480원 선을 웃돌았다.
미국과 중국의 강 대 강 관세 전쟁에 위안화 약세 영향까지 겹치면서 원·달러 환율은 3거래일 만에 1430원 선에서 1480원 선까지 단숨에 뛰었다.


미국과 중국 간 관세와 보복관세, 추가 관세 응수가 이어지면서 위험통화 회피 현상이 극대화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이날 중국에 104%에 달하는 누적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당초 상호관세 34%를 부과하기로 했으나 중국이 보복관세를 예고하자 50%를 추가했다.


중국이 위안화 절하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도 원화 약세 요인이 됐다.
중국이 위안화를 큰 폭으로 절하하며 환율 전쟁을 암시하면, 이에 연동해 원·달러 환율도 추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위험 회피가 강화된 데다 위안화 약세에 연동해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진단했다.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당초 오는 11월에서 내년 4월로 연기된 된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이 한국과의 관세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으나 향방은 아직 안갯속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1500원 선까지 상단을 열어두고 대응해야 하는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관세 협상 진전 가능성,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경계감 등은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