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 1487.5원 금융위기 수준
코스피 1.74% ↓ 2293.7로 마감
정부 긴급지원 車·부품업 대상 2조 추가 투입
미국의 상호관세가 공식 발효된 9일 국내 금융시장은 대혼란을 겪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 선에 바짝 다가섰고, 코스피는 1년5개월 만에 2300선이 무너졌다.
정부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업종에 대해 특별 정책금융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자동차·부품업종에는 2조원의 정책자금이 투입된다.
![]() |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되면서 코스피 2300선이 붕괴한 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증시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53p(1.74%) 내린 2,293.70, 코스닥 지수는 15.06p(2.29%) 내린 643.39로 마감했으며, 달러·원 환율은 10원 넘게 올라 1,483.50원을 보이고 있다. 뉴스1 |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16일(1492.0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 수준이다.
주가도 내리막을 걸었다.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74% 내린 2293.7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지수가 23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3년 11월1일(2288.64) 이후 1년5개월여 만이다.
코스닥지수도 전날 대비 2.29% 하락한 643.39를 기록했다.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별 지원책을 내놨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자동차, 철강, 반도체, 배터리 등 통상 마찰 가능성이 큰 주력 수출업종에 정책금융을 강화한다.
대미 수출에 비상이 걸린 자동차·부품 업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2조원의 정책금융이 추가 투입된다.
이에 따라 올해 자동차 분야의 정책금융은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된다.
이 같은 정부 지원에 호응해 현대차·기아도 금융권·정책금융 기관과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조성,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을 지원한다.
![]() |
관세 피해 기업에 법인·부가·소득세 납부 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하고 1년간 관세를 유예해 조세부담 완화도 적극 지원한다.
수출이 줄어든 자리를 내수가 메울 수 있도록 수요 진작책도 시행한다.
제조사 할인 금액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 제도 종료 시점을 올해 상반기에서 연말까지로 연장한다.
다양한 정부·지방자치단체 전기차 보조금과 함께 기업의 할인 노력과 연계해 추가로 지급하는 정부 매칭 보조금 지원 비율도 기존 20∼40%에서 30∼80%로 확대한다.
세종=안용성 기자, 김수미 선임기자, 김건호·박유빈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