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부상 추진기술 개발 등 착수
시속 1200㎞… 미래형 교통 주목
“TF 운영… 연구성과 주기적 점검”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안에 이동할 수 있는 초고속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기술 개발이 본격화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과 전자기력을 이용해 이동하는 미래형 교통수단이다.
![]() |
국토교통부. 뉴시스 |
주관연구기관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맡고, 올해부터 2027년까지 총사업비 127억원이 투입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우고 열차와 선로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이퍼루프’로 불리기도 한다.
하이퍼튜브는 시속 1200㎞ 가까운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시속 300㎞인 고속철도(KTX)는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무정차 운행 기준 1시간 52분이 소요되지만, 하이퍼튜브는 같은 거리를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다.
하이퍼튜브와 같은 초고속 진공관 운송 시스템은 전 세계에서 관심을 갖고 있지만 압력 차이와 자기 저항 등에 대한 안정성 확보 문제로 인해 실현 가능성 논란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하이퍼튜브를 현실화하기 위해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자기부상·추진 기술과 극한의 아진공 환경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이 요구된다.
아진공 상태에서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도 필요하다.
이번 연구개발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해당된다.
국토부는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