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라이프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달 자원 확보 연구, 태백 폐광 갱도에서 시작된다

태백의 폐광에서 미래 한국의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시도가 본격화하고 있다.
폐광의 특수 지하공간을 달 극 지대와 유사하게 재현해 실증 시연에 나섰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은 지난 28일, 이철규 국회의원, 이상호 태백시장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폐광 내 지하 공간을 달 극 지대와 유사하게 재현한 현장에서 ‘폐광 내 달 현지자원 실증 시연’에 나섰다.


시연에는 지질자원연 우주자원개발센터 김경자 박사를 비롯하여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카이스트 등 국내 유수 연구기관과 학교, 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공개된 장비는 달 표면 다목적 모빌리티,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드릴 장비,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 센서(LIBS) 및 달 표토층 자원추출기 등이다.
이들 장비는 저중력 환경과 울퉁불퉁한 비평판 표면에서도 원활한 동력 전달 및 주행 성능을 기반으로 달 토양 채취 및 원소 분석 등 실제 달 탐사에 필요한 기술력을 선보였다.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인 방효충 카이스트 교수도 직접 달 궤도를 관찰할 초소형 위성인 큐브샛을 소개했다.


연구진이 목표로 하는 대표적인 달 표면의 자원은 '헬륨-3'다.
헬륨-3은 탄소 배출이나 방사능 오염 등의 걱정이 없는 핵융합 발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미래 에너지 자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계자들은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 간의 협력 강화와 정부 차원의 추가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김성원 지질자원연 국토우주지질연구본부장은 “폐광을 재활용한 이번 달 자원 개발 실증은 우주 자원 개발 경쟁에서 선제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첫걸음이며, 심우주 관찰 등 다른 우주 프로젝트와 함께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다고 강조했다.



지질자원연은 이번 시범 적용을 바탕으로, 폐광 갱도를 달 탐사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는 동시에 국제우주자원실증융합협력센터(ISRU Nexus Hub)를 구축하여 미래 우주 자원 활용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태백=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