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 전략 재편…쿠팡에 도전장 내미는 이커머스
판매자·소비자 유입 뚜렷…홈쇼핑·중소 셀러 ‘오네’ 장착
‘로켓 배송’으로 유통 공룡 ‘쿠팡 독주’ 제동 걸리나
![]() |
CJ대한통운 제공 |
CJ대한통운이 연초 도입한 ‘매일 오네(O-NE)’가 이커머스업계의 핵심 배송 전략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일요일과 공휴일 배송을 포함한 ‘끊김 없는 배송’은 물론 당일, 새벽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쿠팡의 ‘로켓배송’에 필적할 만한 새로운 물류 대안으로 꼽힌 것이다.
◆배송 전략 재편…쿠팡에 도전장 내미는 이커머스
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다수 이커머스는 CJ대한통운의 ‘매일 오네’를 활용한 배송전략 재수립에 나서고 있다.
먼저 신세계그룹 이커머스계열은 CJ대한통운과의 협업으로 끊김 없는 배송에 더해 판매지역 확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 |
CJ대한통운 메가허브 곤지암. CJ대한통운 제공 |
SSG닷컴은 CJ대한통운과 손잡고 과거 수도권 일부에서만 진행하던 새벽배송을 최근 화성 등 경기 남부권, 충정·세종권 등 중부지역으로 확대했다.
이에 더해 부산과 대구, 광주 등 주요 광역시까지 새벽배송 권역을 확장했다.
G마켓 역시 지난해 신세계-CJ그룹 간 전략적 업무협약 이후 도착보장 서비스 ‘스타배송’을 도입, 주 7일 배송을 진행하며 점유율 회복을 노리고 있다.
네이버는 CJ대한통운과 파스토 등이 포함된 ‘네이버 풀필먼트 얼라이언스(NFA)’를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물류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오늘배송(당일), 내일배송(익일 도착보장), 일요배송, 희망일배송, 새벽배송 등으로 배송 서비스를 세분화 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는 게 골자다.
업계는 CJ대한통운이 네이버 커머스 개편의 주요 파트너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CJ대한통운과 네이버가 지난 2020년 지분교환을 포함한 동맹관계를 구축한 만큼, N배송 전략이 구체화되면 CJ대한통운이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판매자·소비자 유입 뚜렷…홈쇼핑·중소 셀러 ‘오네’ 장착 서둘러
홈쇼핑사도 배송 경쟁에 뛰어 들었다.
CJ온스타일과 신세계라이브쇼핑이 연초 주 7일 배송을 실시한 데 이어 최근 NS홈쇼핑도 같은 서비스를 도입하며 주말 배송 경쟁력을 확보했다.
![]() |
O-NE 배송. CJ대한통운 |
이 같은 전략은 곧장 판매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도 나타났다.
CJ온스타일에 따르면 연초부터 2월 말까지 토요일 주문량은 전년 동기대비 38% 늘었으며, 같은 기간 전체 물동량 역시 11.3% 증가했다.
과거에는 일요일에 배송이 불가해 홈쇼핑사는 무형상품 위주로 주말 마케팅을 펼쳤지만, 이제는 식품·패션·생활용품 등 실물 상품까지 판매 영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 결과다.
![]() |
SSG닷컴-CJ대한통운 협업. CJ대한통운 제공 |
일반 소비재 이커머스 셀러들도 발 빠르게 ‘매일 오네’를 장착하고 있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매일 오네’의 1~2월 신규 고객 중 식품 판매자가 24.7%로 가장 많았고, 생활·건강(23.7%), 패션(20.6%)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패션 플랫폼의 자체몰 강화 전략과 맞물리며 물류 효율성 확보를 위해 CJ대한통운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쿠팡 독주 제동 걸까…’反 쿠팡연대’ 점유율 반등에 쏠리는 눈
이제 시장의 관심사는 배송 경쟁력을 강화한 이커머스업계가 ‘로켓 배송’으로 유통 공룡에 오른 쿠팡의 성장세에 제동을 걸 지에 쏠려 있다.
![]() |
매일매일 오네 캠페인. CJ대한통운 제공 |
쿠팡이 타 이커머스와의 차이를 만들어 냈던 일요배송이, 이제는 원하는 셀러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된 만큼 업계 내에서는 ‘이제는 해볼 만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어서다.
특히 일반 택배사의 ‘매일 배송’은 플랫폼 제한 없이 다양한 판매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녔고, 당일배송 및 새벽배송 등의 옵션 다변화까지 거둬 배송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시각이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