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정면승부 대신 공존 택한 김경수…'착한 2등' 전략 통할까


단식 이어 개헌 기조 힘실으며 존재감 키워
당내 갈등 피하며 명분 쌓기?
차기 당내 권력 구도 노린다는 분석도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구도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그 중심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1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13일째 단식 중인 김 전 지사의 농성장을 찾아 손을 맞잡고 있다. /이새롬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구도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그 중심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1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13일째 단식 중인 김 전 지사의 농성장을 찾아 손을 맞잡고 있다. /이새롬 기자

[더팩트ㅣ국회=김세정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구도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그 중심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에 나서 존재감을 키운 데 이어 개헌 문제에서 이재명 대표의 입장에 힘을 싣고 있다.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두고 정면 충돌 대신 공존을 택한 모습인데 정치권에선 김 전 지사가 '착한 2등' 전략을 택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명분을 쌓으며 이재명 이후를 준비하려는 정치적 포석이라는 것이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전 지사는 이번 주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이후에도 김 전 지사는 내란 종식을 핵심 메시지로 삼으며 정치적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완규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2인을 지명한 것과 관련해 김 전 지사는 SNS에 글을 올리고 "제2의 내란 시도"라며 "끝까지 막아낼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 전 지사는 "권한대행은 선출된 권력이 아니다. 국정의 유지라는 최소한의 권한만 행사해야 한다"며 "내란 공범(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으로 임명한 것은 탄핵 이후 헌정질서 회복을 바라는 대한민국 국민들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고 질타했다. 전날에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겨냥해 △대선 불출마 선언 △내란 동조 국민의힘 대국민 사과 요구 △윤석열 제명 촉구 △김기현·나경원·윤상현 의원 출당 요구 △윤석열·김건희 엄중수사 촉구 등 5가지 조건을 제시하기도 했다.

개헌 국민투표와 대통령 선거를 동시에 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을 사실상 거절한 이 대표의 입장에 김 전 지사가 동의한다는 뜻을 밝힌 것은 주목되는 지점이다. 김 전 지사는 "내란종식이 최우선 과제라는 (이 대표의) 지적에 적극 동의한다"며 " 내란세력으로부터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5.18 광주정신 헌법 전문 수록 및 계엄선포 요건 강화, 행정수도 이전 등의 사안부터 우선 처리하고 권력구조 개편은 다가올 지방선거에 맞춰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는데 이 대표가 제시한 개헌 로드맵과 맥을 같이한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이번 조기 대선은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느냐 마느냐를 가늠하는 선거이며, 개헌은 그 관문이 될 것"이라고 밝힌 것이나 김부겸 전 국무총리의 "내란 수습을 핑계로 개헌을 방관하는 태도는 안일하다"는 발언과는 다른 지점이다.

정치권은 이같은 김 전 지사의 행보를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대표에게 각을 세우기보다는 '보완재'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당내 신뢰를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새롬 기자
정치권은 이같은 김 전 지사의 행보를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대표에게 각을 세우기보다는 '보완재'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당내 신뢰를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새롬 기자

정치권은 이같은 김 전 지사의 행보를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대표에게 각을 세우기보다는 '보완재'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당내 신뢰를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벌였던 14일간의 단식 역시 투쟁의 결기를 보여주는 동시에 지지층과의 접점을 확대하려는 정치적 행보였다는 평가다.

이 대표가 압도적 지지율을 기록하는 이상 이번 경선에서는 승산이 어려워 보이는 만큼 이 대표 이후의 당내 권력 구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전략도 녹아 있다. '착한 2등' 전략을 통해 당내 파열음을 최소화하면서도 존재감을 쌓는 방식이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김 전 지사가 아름다운 경선에 힘을 보태기로 한 게 아닌가 싶다. 포지티브한 입장에서 포스트 이재명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영 정치평론가도 "민주당 경선은 누가 이재명에 이어 2등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차기를 도모할 수 있는 측면에서 김 전 지사도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판단을 한 것"이라며 "(이 대표가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당권을 노려볼 수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전 지사의 전략에 대한 당 내부의 평가가 모두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김 전 지사의 행보를 '전략의 부재'라고 꼬집었다. 그는 통화에서 "이번에 당선되려고 나온 게 아니라 당내 신임을 회복하고 당원들 사이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서도 "선거와 관련해서 정확한 전략이 없어 보인다. 확실하게 지지층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못 만들어 내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김동연 지사는 경제관료 출신으로서 중도층을 공략하겠다는 것이라도 있는데 김 전 지사는 더 그런 게 없다"라고 지적했다.


sejungkim@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