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국민 생명 지키는 게 국가 책무"
김경수 "망각은 또다른 참사 시작"
김동연 "끝까지 잊지 않겠다"
![]() |
세월호 참사 11주기인 16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 전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일제히 추모 메시지와 함께 국가 책임 강화와 제도적 변화를 약속했다. /배정한 기자 |
[더팩트ㅣ김세정 기자] 세월호 참사 11주기인 16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 전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일제히 추모 메시지와 함께 국가 책임 강화와 제도적 변화를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SNS에 글을 올리고 "11년 전 오늘 있었던 세월호 참사는 304명이 희생된 1개의 사건이 아니라 우리 곁의 소중한 가족과 이웃 304명을 잃은 304건의 참사였다"며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물었고, 지금도 묻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바로 세우겠다"며 "참사로 희생된 국민의 아까운 목숨이 헛되지 않고, 더는 유가족들이 차가운 거리에서 외롭게 싸우지 않도록 국가의 책무를 다하겠다"라고 다짐했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실을 국가안전·재난관리의 컨트롤타워로 복원하겠다고 밝히며, 국가 안전책무의 법률 명시, 현장 중심 재난 지휘권 강화 등을 약속했다. 그는 "재해·재난 예방과 대응도 더 촘촘히 하겠다"며 "산불, 수해, 땅 꺼짐(싱크홀), 항공사고 등 자연·사회재난 전반에 대한 통합 대응 체계를 마련하겠다"라고 했다.
이어 이 전 대표는 "국가의 무능과 무책임으로 희생되신 모든 분의 명복을 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소중한 가치는 없다. 그 책임을 끝까지 지겠다"라고 전했다.
김경수 전 지사도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한 나라를 만들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어야 한다고 했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했다"며 "위기 대응 매뉴얼을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재난 시 실무자가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소신껏 일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대규모 재난이 발생했을 시 부처별 칸막이나 관할을 따지지 않고, 대한민국의 모든 역량을 빠르게 집중해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또한 대규모 재난과 참사에는 반드시 진상규명조사를 통해 문제의 원인과 대응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짚고 앞으로는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은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역할"이라며 "망각은 또 다른 참사의 시작이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새기고 또 되새기겠다"라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 참석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않은 정권, 진실을 가리고 책임을 회피하는 데에만 급급했던 두 정권의 끝은 파면이었다"며 "다시는 이런 참사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그 길은 '윤석열 이전의 나라'를 넘어 완전히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 3월 출범한 안산마음건강센터를 경기도가 전적으로 책임지고 운영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10년 만에 착공된 4·16 생명안전공원이 제때 완공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세월호에서 세월호와 함께 답을 찾아야 한다. 끝까지 잊지 않겠다"며 "304명 한 사람 한 사람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라고 말했다.
sejungkim@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