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지난 10월 정부가 발표한 우리나라 10대와 20대, 30대에서의 사망 원인 1위는 자살. 특히 10대의 자살률은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증가했다. 정부는 자살률 상승 배경으로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정신적 어려움을 지목한다. 반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은 불과 4%.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빨간 불이 들어왔지만 낙인이 찍힐까 두려워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는 셈이다.
서울시가 이같은 현실을 반영해 현재 야간과 주말에만 운영하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2026년까지 상시상담으로 전환한다. 동네에서 편한 시간에 이용하는 '마음상담소'도 11개소(9개구)에서 전 자치구로 확대하고 상담비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맞춤형 전화상담까지 가동할 방침으로, 학교 내 사고 발생에 따른 위기대응시스템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시교육청은 17일 오전 '청소년 마음건강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2028년까지 4500억원을 투입해 외로움과 고립 및 은둔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내놓은 '외로움 없는 서울' 대책의 일환으로, '청소년 마음건강 통합지원'이 골자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2년간 202억원을 투입해 ▲상담 접근성 확대 ▲학교 내 상담·평가 원스톱 운영 및 위기대응 강화 ▲상담인력 전문성 제고 ▲지원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목표는 이들이 낙인감 없이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받도록 하는 데 있다. 지난해 기준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대상자 26만2712명 중 1만2331명(4.7%)이 관심군으로 나타난 반면 상담기관에 연계된 인원은 70%에 불과해 서비스 영역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얘기다.
우선 청소년들이 일상적인 마음돌봄을 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인다. 가장 큰 변화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상시 체계 전환이다. 현재 자치구별로 야간과 주말에만 운영하고 있지만 2026년까지 전문상담사를 확보해 상시 운영 기반을 갖추기로 했다.
동네에서 편한 시간에 상담받을 수 있는 마음상담소도 전 자치구로 늘어난다. 서울형 청소년 마음건강 상담비에 대해서는 지원도 이뤄진다. 전화 통화로 쉽게 도움받을 수 있는 '청소년상담전화'(1388)에는 '1인상담 책임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초기 상담부터 회복될 때까지 모두에게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실효성이 다소 떨어졌던 학교 내 관리 시스템도 강화한다. 관심군 청소년을 신속히 돕기 위해 학교 내 '원스톱 상담시스템'을 구축하고 전문가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관심군 학생의 심층평가와 상담부터 학부모 상담, 치료기관 연계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학교 내 자살이나 자해 발생 시 가동할 위기대응 시스템도 구축한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에 학교위기대응 전담팀을 신설하고 교육지원청 별로 위기지원단을 운영해 협력하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서울 초·중·고 1329개교 중 75.8%(1007개교)에 배치된 상담교사를 2030년까지 332개교 모두 배치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중장기적으로는 중앙부처 및 관계기관과 '서울시 청소년 마음건강정책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이 다뤄질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는 전 사회가 함께 나서야 한다"며 "이번 협약이 청소년 마음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