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하루 4.8시간 병구완 '가족돌봄청년'…맞춤형 지원 강화


서비스 연계, 대상자 발굴 등 집중 지원 나서

서울시는 가족돌봄청년 각각의 어려움을 해소해 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서울시는 가족돌봄청년 각각의 어려움을 해소해 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아픈 가족을 챙기며 생계까지 도맡는 '가족돌봄청년'이 하루 평균 5시간가량을 돌봄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23년 8월부터 1년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에 참여한 206명을 조사한 결과 주당 돌봄 시간은 33.6시간으로, 일평균 4.8시간 가족을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62.6%는 가족을 '거의 매일' 돌본다고 답했다. 평균 돌봄 기간은 6.72년으로 5년~10년이 37.4%, 2~4년 사이가 26%였다.

가족을 돌보는 과정에서 가장 힘든 점은 '경제적 어려움'이 90.8%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생계 지원(93.2%)’'이었다.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뒤 돌봄 부담이 감소 또는 매우 감소했다는 응답은 53.2%로 집계됐다. 이중 68.4%는 심리·정서적 안정에 도움 또는 매우 도움됐다고 답했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 및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청년 각각의 어려움을 해소해 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디딤돌소득·서울런 등 기존에 70개였던 공공 서비스를 올해부터는 158개로 확대, 연계해 주고 돌봄 경험 공유 및 긍정적 정서 형성을 도와줄 가족돌봄청년 네트워크, 자기계발 프로그램 등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생계·주거·학습·의료 등 각 분야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을 함께해 온 7개 업무협약 기관과 더불어 청년층에게 선호도 높은 금융·심리 상담 등 관련 민간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자신이 '가족돌봄청년'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 전화 상담뿐 아니라 온라인 창구도 상시 운영하는 한편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조사와 연계해 상·하반기 1회씩 대상자를 집중적으로 찾아 지원한다고 밝혔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한창 미래를 그리고 꿈을 향해 달려나가야 할 시기에 가족을 돌보며 '가장' 역할을 하느라 자신을 챙기지 못하는 청년이 없도록 발굴부터 지원까지,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정책을 더욱 꼼꼼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sy@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