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최근처럼 대기가 건조한 상태에서 미세먼지까지 닥치면 안질환 환자는 더욱 늘어난다.
봄철마다 반복되는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안구건조증 등 안질환의 종류와 예방, 치료법을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안센터 김은철 교수의 도움을 받아 알아본다.
김은철 교수는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로 눈병이 생기기 쉬운 위험요소가 많으므로 외출 후에는 세안과 손위생 등을 철저히 하고, 증상 발현시에는 꼭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알레르기 결막염의 경우 눈과 눈꺼풀 주변의 가려움증, 작열감, 눈부심, 눈물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눈이 붉고 간지러운 증상이 가장 심하다.
이는 공기 중 꽃가루, 먼지, 동물의 비듬 등에 의해 결막이 자극 받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우리나라는 봄철에 주로 황사와 꽃가루에 의해 많이 발병한다.
특히 안구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방법은 원인이 되는 항원을 찾아 없애는 것. 그러나 항원 자체를 없애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만큼 최대한 원인인자를 기피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꽃가루나 황사가 많을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외출 시 선글라스와 챙이 넓은 모자를 쓰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귀가 후에는 얼굴과 손발을 깨끗하게 씻고, 인공눈물을 이용해 눈을 촉촉하게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가려움 등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항히스타민 제재나 비만세포 안정제, 호산구 억제제를 처방받아 써야 한다.
냉찜질도 증상완화에 도움을 준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해야 한다.
◆봄철 각결막염
각결막염은 아토피나 천식, 습진 등의 알레르기 병을 동반한다.
이들의 3분의 2에서 가족력이 있다.
심한 가려움증과 이물감, 끈적끈적한 점액성 분비물, 결막충혈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각막에 타원형의 방패형 궤양이 생겨 시력에 치명적인 결과를 주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맘큼 증상 초기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 |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안센터 김은철 교수 |
유행성 각결막염은 감기처럼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증상은 눈물증가, 충혈, 이물감, 눈부심, 시력저하로 초기에는 알레르기성 눈병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로 오인될 수 있다.
발병 후 1~2주의 유병기간을 가지며 전염성이 있으므로 항상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고 수건이나 물건을 따로 사용해야 전염을 막을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손발을 깨끗이 씻고 세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감염시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안약을 쓰게 된다.
◆ 안구건조증
주로 춥고 건조한 겨울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봄철 황사와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지면서 안구건조증도 덩달아 심해질 수 있다.
대부분 알레르기 증상과 함께 따가움, 가려움증, 충혈, 눈물흘림이 동반된다.
치료법은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는 것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세안을 깨끗이 하며, 집에서 가습기를 틀어 놓는 것이 좋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