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1월 대한의사협회 회장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김택우 의협 회장은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를 향해 이렇게 성토하더니 “2025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의대 교육 마스터플랜’은 김 회장이 취임사부터 기회가 있을 때마다 ‘1번 과제’로 요구해오던 사안이었다.
![]() |
김승환 사회부 기자 |
이달 7일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원상복구안과 함께 올해 의대 교육 지원 방안을 내놨을 땐 의협 대변인은 “성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는 말만 했다.
최근 제적 가능성에 의대생이 대거 복귀 움직임을 보이자 의협은 28일 입장문에서 “학생들이 독립적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할 것으로 믿는다”며 사실상 남 일인 듯했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의대 교육 마스터플랜’ 없이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하다던 의협이었다.
말 그대로 자가당착이다.
의협이 ‘팔짱’을 낀 사이 의대생 내 갈등의 골은 끝 간 데 없이 깊어졌다.
의대생 커뮤니티만 봐도 등록 시점에 따라 ‘1차 등록견’, ‘2차 등록견’ 등 편을 가르고 혐오를 쏟아내는 글이 잇따른다.
의협이 먼저 나서 “우리가 투쟁할 테니 의대생은 제자리로 돌아가달라”는 입장을 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지만 의협 측은 “결과물이 좋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했다.
서로를 ‘등록견’이라 손가락질하는 의대생들에겐 어떤 ‘마스터플랜’을 들이밀어도 ‘정상적인 교육’이 불가할 것이다.
이 또한 의·정 갈등을 촉발한 정부에 본디 잘못이 있을 테지만, 어린 학생들에게 가혹한 짐을 짊어지게 한 의협 또한 어른으로서 책임을 느껴야 할 일이다.
김승환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