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 유무 따라 진화율 차이 극명
문제는 예산… 정부 지원 절실”
![]() |
”
남성현(67·사진) 전 산림청장(국민대 석좌교수)은 31일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임도는 지상진압 효율성을 높이는 필수 인프라로 산불 확산을 저지하는 방화선 역할도 한다”며 “현재 시스템에서 임도는 산불을 조기에 끝낼 수 있느냐 없느냐를 가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남 전 청장은 지난 40년간 남부지방산림청장,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청장 등을 역임하며 대형 산불을 10차례 이상 경험한 ‘산림 관리 전문가’다.
남 전 청장은 2023년 3월 경남 하동과 합천 산불을 비교하며 임도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는 “같은 경남에서 발생한 산불이었지만 임도 유무에서 진화율이 갈렸다”고 했다.
경남 합천에서 이틀간 발생한 산불은 해가 지기까지 33대의 진화헬기를 투입하고도 강풍으로 진화율 10%에 그쳤다.
일몰 후 임도를 따라 지상진화에 나서 진화율을 92%까지 끌어올렸다.
반면 하동 산불은 28대의 헬기를 투입해 진화율을 46%까지 끌어올렸으나 지리산국립공원과 맞닿아 있는 여건으로 임도는커녕 산세마저 험해 진화율은 겨우 63%에 달했다.
어쩔 수 없이 탐방로로 진화대원을 투입했는데, 당시 대원 중 1명이 가파른 산 중턱 부근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활엽수 낙엽층이 머금고 있는 ‘좀비 불씨’ 진압에도 임도가 큰 역할을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남 전 청장은 “우리나라 낙엽층 깊이는 최대 100㎝, ㏊당 300∼400t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산불의 연료로 활용되고 산불이 지표면 아래로 진행되는 ‘지중화’ 양상을 확산시키는데 임도를 타고 산불진화차량이 접근하면 충분히 불을 끌 수 있다”고 했다.
문제는 돈이다.
남 전 청장은 “산림청에선 이미 진화헬기 도입, 임도 확충 등에 대한 계획은 다 세워놨다.
그런데 실행이 안 되면서 정책은 종잇장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임도 개설비는 1㎞당 3억5000만원 정도다.
그는 1년에 최소 2000㎞의 임도를 개설해야 산불 재난에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임도밀도는 ㏊당 4.1m로 일본(23.5m), 독일(54m)에 비해 턱없이 낮다.
남 전 청장은 산불 예방·대응을 위한 지속적인 인력·장비 투자는 기후위기 시대에 더욱 절실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봄의 산은 5월 말까지 화약고”라며 “그런데 진화헬기는 다 정비 들어가 있고 대원들은 지쳐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기후위기가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산불 예방 대책은 국가 재난 안전과 국가안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해야 한다”며 “국방이나 국가안보 태세처럼 산불대책도 유비무환”이라고 강조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