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현지매체들이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소식을 앞다퉈 속보로 전하고 심층 분석 기사로도 다뤘다.
중국 포털 사이트 등에서는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 등이 한때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헌재의 파면 선고와 거의 동시인 이날 오전 11시22분 속보를 내보냈다.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외신 중에서도 가장 빨랐다.
신화통신은 이어진 종합 기사에는 "윤 전 대통령이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파면당한 두 번째 현직 대통령이 됐다"고 짚었다.
통신은 윤 전 대통령의 작년 12월3일 계엄령 선포부터 이날 파면까지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별도 일지를 내보내기도 했다.
중국중앙(CC)TV도 정규 방송 도중 파면 속보를 자막으로 전했다.
CCTV는 이날 헌재에 자사 특파원을 보내 파면 소식과 함께 한국의 정치 및 사법 전망, 현장 분위기도 소개했다.
CCTV는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파면돼 불소추특권을 잃으면서 계엄령 선포에 따른 헌법 위반뿐 아니라 권력 남용 등 혐의, 나아가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60일 안에 대선이 치러진다면서 여야 잠룡들을 소개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날 오전 11시45분 기준으로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검색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한국 60일 이내 대선'이었다.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에서도 같은 시각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1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인기 검색어 상위 10위 가운데 4개가 윤 전 대통령과 관련된 단어였다.
잔더빈 상하이 한반도연구협회 부회장 겸 상하이 대외경제무역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소장은 이날 남방일보에 실린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간 일련의 탄핵 재판과 형사 재판은 한국 민주주의 체제의 고질적 문제, 즉 권력 견제·균형 메커니즘의 취약성과 여론·법 원칙 간 갈등의 불균형을 드러냈다"면서 "앞으로 한국 정치는 새로운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